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수영 시에서의 대극적 구조와 긴장의 구현 양상

이용수 201

영문명
Contrasting Construct and Realization of Tension in Kim Su-yeong s Poetry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이승규(Lee, Seung-Gyu)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5집, 217~24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김수영의 시에서 극단적으로 상이한 두 구조가 어떠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그것이 어떤 상관성을 가지며, 어떻게 긴장성을 획득해 가는가 살피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것이 그의 시적 지향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그의 시에서 응결(凝結)의 구조는 절제된 언어 표현을 통해 사물의 대비적 의미가 균형을 이루며 하나의 주제를 향해 집약되는 효과를 지닌다. 「눈」과 「瀑布」, 「먼 곳에서부터」를 비롯해 여러 작품이 이러한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이는 내적 성찰을 통해 정신의 도약을 조장하고 완성하는 데 기여한다. 「하…… 그림자가 없다」나 「가다오 나가다오」, 「거대한 뿌리」 등의 시에 드러나는 낭비의 구조는 대체로 시적 자아의 감정이 그대로 분출되면서 반복과 열거의 과잉이 두드러지는 형태이다. 이러한 균형과 조화의 파괴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한 기법적 시도이다. 또한 이는 현실의 정체(停滯)와 억압에 대항하는 역설적 기제이며, 때로는 진실의 발견과 미래의 전망에 대한 환희의 표출이기도 하다. 그러면서도 두 구조는 각각 긴장의 이완과 결락이라는 한계를 유출한다. 이 두 구조는 같은 시기에 공존하면서 서로 교호하여 긴장 관계를 이룸으로써 성찰과 변혁의 융합이라는 김수영 시세계의 총체적 특질을 이룬다. 그 실례로 「어느날 古宮을 나오면서」와 「풀」은 각 구조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긴장을 통해 박진감과 진정성을 획득함으로써 대극과 회통의 시적 행보를 완성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wo extremely different structures in Kim Su-Yeong s poetry were created and to consider how they were correlated and how they affected the directionality of his poetry. And that s how the structure acquires tension. The structure of condensation had the effect that brought about the balance in the contradistinctive meaning of objects and convergence on a single theme through moderate linguistic expression. Various works, such as 「Snow」, 「Waterfall」 and 「From afar」, take this structure, which contributes to promoting and completing highly substantive leap of mentality while carrying out inward reflection. The structure of waste manifested by the poems, such as 「Ha …… there is no shade」 or 「Take it back」, 「Giant Root」, etc., usually reveals conspicuous excessiveness of repetition and enumeration with the gush of emotion of poetic self exactly as it is. This kind of destruction of balance and harmony is an attempt in poetic technique to shape the theme effectively. Moreover, it represented a paradoxical mechanism against stagnation and oppression of reality, and sometimes an expression of joy towards the discovery of truth and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Still, the droop of tension and absence of tension flow out.These two structures, which appeared in the same period, formed reciprocally intertwined and tense relation, thus highlighting overall aspect of Kim Su-Yeong’s poetic world characterized by convergence between reflection and action. 「One day, leaving the palace」, 「Grass」 go beyond the limits of each structure. They gain excitement and authenticity through new tensions. Thus, the step of great difference and opening is completed.

목차

1. 상이한 구조의 공존과 긴장의 관계
2. 응결의 구조와 긴장의 이완
3. 낭비의 구조와 긴장의 결락
4. 구조의 융합과 긴장의 발현
5. 대극과 회통의 시적 행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규(Lee, Seung-Gyu). (2020).김수영 시에서의 대극적 구조와 긴장의 구현 양상. 한국문학논총, 85 , 217-245

MLA

이승규(Lee, Seung-Gyu). "김수영 시에서의 대극적 구조와 긴장의 구현 양상." 한국문학논총, 85.(2020): 217-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