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환기 최재서의 레퍼런스와 인간성 탐구

이용수 93

영문명
Choi, Jae-Seo’s References and Humanity study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 Focusing on the Family Chronicle Novel and War Literature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서승희(Seo, Seung-Hui)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5집, 181~21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1940년을 전후하여 최재서가 읽은 책과 비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최재서는 1930년대 후반기에 이르러 “심리와 의식의 세계” 대신 “사건과 행동의 세계”로 전개되는 유럽 문학의 동향 속에서 ‘가족사 연대기 소설’과 ‘전쟁 문학’의 의미를 새롭게 검토하게 된다. 그는 현대적 성격의 생성과 분열이라는 테마를 중심으로 토마스 만(T. Mann)의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을 독해했고, 전쟁 문학의 휴머니즘적 가치를 비트코프(P.Witkop)가 편찬한 『독일 전몰 학생의 편지』를 통해 논의했다. 전자가 현대인의 이원적 자아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20세기의 지적 인간형들을 결산하고 재정리하는 작업이었다면, 후자는 중일전쟁 이후 강화된 동원과 협력의 요구 속에서 전쟁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전쟁 문학의 방향성을 생각해 보는 작업이었다. 이와 같은 읽기와 쓰기는 당시 파시즘과 반파시즘 진영을 막론하고 최대의 화두로 떠오른 ‘전체성’에 대한 문학적 성찰로서 의미를 지녔다. 그러나 최재서는 1940년대 국민문학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유럽 근대 문학의 전통 속에서 비평의 레퍼런스를 찾는 작업을 중단하고, 나치스 문화 이론을 통해 자유주의와 개인주의적 세계관을 폐기할 근거를 찾았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ooks that Choi, Jae-Seo read around 1940, and reviews. In the late 1930s going through the trend of European literature, which was developed through in the ‘world of events and behaviors’ instead of the ‘world of psychology and consciousness’, ‘family chronicle novels’ and ‘water literature’ became subject to a new review. He read Thomas Mann’s Buddenbrooks, centering on the modern theme regarding creation and division, and discussed the humanistic value of war literature by the medium of A Letter from a German Student, who Died in the War compiled by P.Witkop. The former was to evaluate and reorganize the past 20th century and intellectual human types, on the basis of his long-standing interest in dualistic ego of modern people, while the former was to think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ars and human, and the direction of war literature when there was a reinforced demand for mobilization and cooperation after the Sino-Japanese War. Reading and writing like this had meaning as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wholeness’ that emerged as the biggest topic at the time regardless of fascism and anti-fascism camps. But as the age of national literature began in the 1940s, Choi, Jae-Seo halted finding references in the tradition of European literature, and tried to look for a basis to scrap literalism and individualistic views of the world instead, citing the theory of Nazism culture.

목차

1. 전환의 시대, 서사의 전환
2. 가족사 연대기와 ‘전체 속 개인’의 고찰 :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
3. 전시(戰時)의 양서와 휴머니즘론 : 『독일 전몰 학생의 편지』
4. 나치스 문화 이론의 조선적 비/효용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승희(Seo, Seung-Hui). (2020).전환기 최재서의 레퍼런스와 인간성 탐구. 한국문학논총, 85 , 181-216

MLA

서승희(Seo, Seung-Hui). "전환기 최재서의 레퍼런스와 인간성 탐구." 한국문학논총, 85.(2020): 181-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