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산시 주거환경의 평가와 정비에 관한 연구

이용수 44

영문명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maintena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Busan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이광국(Kwang-Kug Lee)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2 No.4, 1491~150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산은 주택의 초과공급시대에 돌입하여 주민들은 그들의 생활권에서 질 높은 주거환경을 경험하길 희망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을 연구대상으로, 주거환경의 질을 생활권단위에서 평가하고 정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시의 ‘2030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서 설정한 62개 주거생활권을 수용하였으며, 서울시와 부산시의 주거관련계획에서 사용한 주거환경 관련 지표들을 종합 검토하여 편리성, 안전성, 쾌적성, 경제성, 사회성의 5개 영역과 영역별 지표로 구성된 26개 주거환경지표를 도출하였다. 26개 지표를 사용하여 생활권별 주거환경을 평가하기 위해 부산시의 평균값을 ‘0’으로 하는 Z-Score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경제성, 안전성, 쾌적성, 사회성, 편리성의 영역 순으로 부산시의 평균값보다 높은 생활권 수가 도출되었다. 또한 영역별 값을 종합한 생활권 순위는 택지 및 주택개발사업, 정비사업, 재생사업 등으로 인한 새로운 변화의 발생유무가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주거환경의 불균형이 도시 공간 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생활권의 주거환경 정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통한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별 특성은 시 외곽과 기성 시가지의 입지여부, 개발사업과 정비사업의 시행여부, 상업지역의 존재와 면적 정도, 고지대 및 수변 등 지형 여건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형별 정비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Busan will enter the era of oversupply of housing and hope that residents will experience high quality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ir living zon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living zone unit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maintenance in Busan. For this purpose, 62 residential living rights were accepted in the 2030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Basic Plan of Busan City, the indicators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used in the previous residential planning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to derive five areas of convenience, safety, amenity, economics, and sociality and 26 residential environmental indicators. To evaluat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y living zone using 26 indicators, Z-Scor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average value of Busan as 0 . As a result, the number of living zones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 of Busan was derived in the order of economics, safety, amenity, social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he ranking of living zones that total the values by category showed that there was a great influence on the occurrence of new changes due to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maintenance projects, and regeneration project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mbala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exists in urban spac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n living zone, the typed through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confirmed to be the location of suburbs and existing urban areas, the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ment project and maintenance projects, the existence and area of the commercial area, and the topographical conditions such as highlands and waterfronts. Based on this, the improvement direction by type was presented.

목차

1. 서론
2. 이론고찰
3. 생활권별 주거환경 평가
4. 생활권별 유형화와 정비방향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광국(Kwang-Kug Lee). (2020).부산시 주거환경의 평가와 정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2 (4), 1491-1506

MLA

이광국(Kwang-Kug Lee). "부산시 주거환경의 평가와 정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2.4(2020): 1491-15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