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거노인의 미충족 의료경험 관련 요인

이용수 172

영문명
Factors Influ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Elderly Living Alone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장혜영(Hye-Young Jang) 이한이(Hanyi Lee)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9 No.6, 3317~332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독거노인의 미충족 의료경험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 별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 이용한 이차분석연구이며, 65세 이상 독거노인 14,787명을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복합표본설계를 고려하여 빈도분석, Rao-Scott 카이제곱 검정과 t 검정,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대상자는 10.0%였고, 미충족 의료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월 가구소득, 교육수준, 지각된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관련 삶의 질이었다. 한편 미충족 의료경험 유형 별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건강상태 인식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경험은 성별, 경제활동, 건강관련 삶의 질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지불능력의 제한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경험은 월가구소득, 지각된 스트레스, 건강관련 삶의 질이 영향요인으로, 물리적 접근성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경험의 영향요인은 연령, 성별, 교육수준, 경제활동, 지각된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수준, 건강관련 삶이 질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미충족 의료경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 시 대상자의 미충족 의료경험의 유형에 따른 유형 별 관련 변수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by type among elderly who lived alone. This study was secondary analys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with the subjects 14,787 elderly who lived alon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Rao-Scott chi-square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o take account of complex samples analysis. 10.0% of subjects had the experiences of unmet healthcare needs. It was determined that influencing factors included monthly household income, level of education, self-rated str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 reason of unmet healthcare needs were classified as 3 categories of health status, economic burden, accessibility. The health status was influenced by gender, economic activ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 economic burden was influenced by monthly household income, self-rated stres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 accessibility was influenced by age, gender, level of education, economic activity, self-rated str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se findings show that factors related by type should be considered when preparing plans to reduce the experiences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elderly living alon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혜영(Hye-Young Jang), 이한이(Hanyi Lee). (2017).독거노인의 미충족 의료경험 관련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9 (6), 3317-3329

MLA

장혜영(Hye-Young Jang), 이한이(Hanyi Lee). "독거노인의 미충족 의료경험 관련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9.6(2017): 3317-33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