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820m 고도의 생활과 고도에 따른 트레드밀 운동이 산소포화도와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

영문명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s on Oxygen Saturation and Respiratory Capacity Following High Altitude Living and Altitude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박소라(So Ra Park) 노효련(Hyo Lyun Roh) 김재호(Jae ho Kim)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9 No.6, 3213~322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820m 고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운동 후의 맥박, 산소포화도와 폐활량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해발고도 820m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40명(여: 20명, 남: 20명)으로 해발고도 820m와 해수면에서 트레드밀 운동을 각각 20분씩 실시하였다. 트레드밀의 속도는 약간 빠른 보행속도로 여성은 4km/h, 남성은 5km/h의 속도로 진행하였다. 트레드밀 운동 전과 후에 맥박, 산소포화도, 폐활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산소포화도(SpO2)에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운동 전, 후 모두 감소하였으나 각 학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율에서 각 학년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운동 전, 후 모두 유의하게 결과값이 증가하였으나 고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맥박(pulse)과 노력성 폐활량, 1초 노력성 호기량, 최대 호기류량에서는 고도와 학년 모두에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산소포화도는 낮아지며,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율은 고지대에서의 생활 정도에 영향을 받고 있어서 고지대에서 생활이 폐 기능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after treadmill exercises on oxygen saturation and respiratory capacity of high altitude living people. The study subjects were 40 students (female: 20, male: 20)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the height above sea level at 820m. They performed treadmill exercise 20 miniutes in the height above sea level at 820m and sea level. Treadmill velocity is slightly faster than walking speed, 4km/h for female and 5km/h for male. The pulse, oxygen saturation and respiratory capacity were measured after treadmill exercise. Oxygen satu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ltitude before and after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with increasing period of high altitude living. FEV1/FVC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highland living before and after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altitude. Pulse, FEV1, FVC, PEF were no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period of high altitude living and altitude. Therefore, oxygen satura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altitude and FEV1/FVC were affected to the period of high altitude living. It is can be said to improve the respiratory capacity of the individual to the period of highland living.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고찰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라(So Ra Park), 노효련(Hyo Lyun Roh), 김재호(Jae ho Kim). (2017).820m 고도의 생활과 고도에 따른 트레드밀 운동이 산소포화도와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9 (6), 3213-3223

MLA

박소라(So Ra Park), 노효련(Hyo Lyun Roh), 김재호(Jae ho Kim). "820m 고도의 생활과 고도에 따른 트레드밀 운동이 산소포화도와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9.6(2017): 3213-3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