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민요 제재곡 분석

이용수 726

영문명
An Analysis of Folk Songs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Revised for 2015: Focused on Grades 5 to 6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주만(Park, Joo-ma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7호, 789~81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따른 초등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민요 제재곡의 비중과 학습내용을 비교,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 및 내용은 현재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초등 5~6학년 검인정 음악 교과서 8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범주는 국악 제재곡 중 민요의 비중, 수록된 민요곡의 현황, 민요의 지역 및 토리별 분류, 학습내용 및 활동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8종 교과서에 제시된 민요의 평균 비중은 77%로 높게 나타났고, 그 외 악곡의 비중으로는 창작국악동요 14%, 시조 7%, 전래동요 2%로 수록되어 있었다. 둘째, 8종 교과서에 제시된 민요 중 출현 빈도가 높은 민요 제재곡은 ‘늴리리야’, ‘도움소’, ‘쾌지나칭칭나네’, ‘금다래꿍’ 등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민요의 전승 지역 및 토리에 따른 분석 결과, 남도민요 31%(육자배기토리 35%), 동부민요 24%(메나리토리 26%), 경기민요 21%(경토리 23%), 서도민요 15%(수심가토리 16%), 그리고 제주민요 9% 순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6종 교과서 민요 제재곡의 학습내용을 분석한 결과, 활동 측면에서 가창과 창작 영역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8종 교과서 모두 교육과정의 학습요소와 성취기준을 충실하게 반영되어 있었다. 한편, 초등학교 민요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편중되지 않은 다양한 지역의 민요곡 수록, 악곡에 특징을 살린 창의적인 학습활동의 제시, 민요 수업에 흥미를 갖게 하는 교수·학습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ortance and learning contents of folk song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were based on 8 officially approved music textbooks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at are currently being applied and analysis was based on the categories of the weight of folk songs among Korean traditional songs, the current conditions of included folk songs, categorizations according to folk song regions and regionally musical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Associated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rst, the average weight of folk songs in the 8 types of textbooks appeared high at 76% and the weight of other musical pieces were 15% for creative Korean classical nursery rhymes, 7% for traditional poems, and 2% for traditional children’s songs. Second, folk songs that appear frequently in the 8 types of textbooks were ‘Nuilniliya’, ‘Doumso’, ‘Kwejinachingchingnane’, and ‘Geumdaraeggoong’. Third, analysis of folk song transmission regions and regional mus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31% were south Gyeonggi folk songs (35% yukjabegitori), 24% were Eastern folk songs (26% menaritori), 21% were Gyeonggi folk songs (23% gyeongtori), 15% were Northwestern folk songs (16% sooshimgatori), and 9% were Jeju folk songs, in that order. Fourth, analysis of folk song learning contents in 6 types of textbooks showed that singing and creation domains were presented most in activity aspects and all 8 textbooks faithfully reflected learning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all curriculum. On one hand, implications were made that the inclusion of folk songs of various regions,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that emphasize song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bring about interest in folk song class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olk song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주만(Park, Joo-man). (2020).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민요 제재곡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7), 789-810

MLA

박주만(Park, Joo-man).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민요 제재곡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2020): 789-8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