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국가무형문화재 가치의 재인식과 쟁점 모색

이용수 345

영문명
Rediscovery of and issue finding about, the value of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for it to be listed on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윤지(Kim Yun Ji)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8권 3호, 201~2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0년대 이후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중·일 삼국은 국가적 자존심을 걸고 자국 무형문화의 소유권을 둘러싼 치열한 논쟁과 경합을 하고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문화적 정경(情景)의 원인을 ‘재생산’ 될 수 있는 무형유산의 본질에 주목하였고, 문화재 보호법의 주요변경 내용을 통해서 국가무형문화재 제도의 흐름과 변화의 의미를 파악 한 뒤 인류무형문화재 등재의 본질적인 가치 및 쟁점안을 모색한 것이다. 그에 따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2015년 3월에 개정된 문화재 보호법은 무형유산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가치 제고에 따른 법적 보호 및 인류무형문화재 등재의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는 인지로부터 시작해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를 위한 협약」을 근간으로 한 국내 무형문화재 범위의 확대와 함께 그 전승과 보전의 방향을 국제적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를 포착할 수 있었다. 둘째, 이 개정에서는 ‘원형’의 보존이 아닌 ‘전형’의 보전을 가장 중요한 선정 기준으로 두었다. ‘전형’은 원형의 경직성을 탈피하여 해당 문화재의 가치를 구성하는 가장 본질적인 특징으로 보고 있으며,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무형문화유산의 정의로 본다면 여러 세대에 걸쳐서 전승되고 구현되어야 하는 고유한 기법 또는 변하지 말아야 하는 근본적인 본(本)은 유지하고 그 전승과 발전의 과정 속에서 변용되는 것까지 보전하는 전형을 무형문화재 가치의 본질로 본 것이다. 셋째,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는 ‘재생산’ 될 수 있는 무형유산의 맹목적인 경쟁이 아닌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진정한 가치에 부합되는 자국의 무형유산들을 등재하는 것이다. 그 등재의 쟁점을 도출해보면, 전통사회로부터의 전승의 지속성·발전의 과정·학술적 근거·계보의 정체(正體)·예술적 특성들의 역사적 고증이 가장 중요한 핵심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글은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가장 본질적인 가치와 자격을 규명함으로서 ‘재생산’의 노출과 ‘역사성’ 규명에 취약한 삼국 무형문화재의 등재 갈등을 해소하고, 등재의 실천적인 척도로 반영되기를 기대 해 본다.

영문 초록

Korea, China and Japan, together accounted for over 70% of the intangible culture heritage of humanity which has been newly listed since 2000s, have been involved in fierce disputes and competitions over the ownership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e heritage to maintain their national self-esteem. In this essay, we focus on the essence of the intangible heritage which can “reproduce” the cause of cultural scene, try to find out the meaning of flows and changes in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system by menas of changes in the Cultural Assets Protection Act, and then seek essentoial values of and issues about, being list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e have mad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Revision of the Cultural Assets Protection Act in Mar 2015 has started from recognition that legal protection of intangible heritage and building-up of a ground for it to be list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ere required because of growing global concern on intangible assets and rise of its value. And eventually, we could grasp that Government had a strong will to globally develop its direction for traditions and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s well as local expansion of its scope, based on the International Treaty for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UNESCO. Second, in this revision, key criteria for selection was not conservation of the original, but preservation of the paragon. The paragon itself is deemed the most essential feature in the value of a corresponding cultural asset, getting out of rigidity of the original. And,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riented by UNESCO, the paragon in which unique technique handed down and realized over generations and an unchangeable fundamental model shall be maintained and transfiguration made in the process of traditions and development is also preserved is deemed essence of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rd, listing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s not reckless competition by reproducible intangible assets, but listing of rach nation s intangible cultural assets which correspond to real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pursued by UNESCO. Issues involved in such listing are continuity of inheritance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development processes, academic backgrounds, genealogical identity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of artistic features, which prove its significance. Therefore, we expect that this essay will resolve three party conflicts in which they are intoxicated by exposure of reproduction and investigation of historicity and make a viable criterion for listing, by investigating the most essential vale and qualification for listing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목차

1. 서론
2. 문화재 보호법으로 본 국가무형문화재의 가치변화
2.1. 국가무형문화재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2.2. 원형 보존에서 전형 보전으로
3. 인류무형문화재 등재의 현황과 쟁점
3.1. 인류무형문화재 등재의 기준 및 대표목록
3.2. 인류무형문화재 등재의 쟁점 도출 및 적용 사례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지(Kim Yun Ji). (2016).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국가무형문화재 가치의 재인식과 쟁점 모색. 문화와융합, 38 (3), 201-226

MLA

김윤지(Kim Yun Ji).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국가무형문화재 가치의 재인식과 쟁점 모색." 문화와융합, 38.3(2016): 201-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