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20~1930년대 강릉지역 사회운동의 전개 양상
이용수 57
- 영문명
- The development aspect of the social movements of the 1920s and 1930s. in Gangneung area
- 발행기관
- 한국세계문화사학회
- 저자명
- 임호민(Ho-Min Kim) 김남현(Nam-Hyun Kim)
- 간행물 정보
- 『세계역사와 문화연구』세계역사와 문화연구 제51집, 313~33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3.1만세운동 이후 강릉지역 사회단체 결성 목적과 활동, 그리고 전개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1921년 결성된 강릉청년회는 지역 계발(啓發)과 진보적 지역 사회 발전 도모를 목적으로 결성되었고, 체육활동 중심의 계몽적 성격의 사회운동을 펼쳤다.
1927년 11월 강릉청년회 해체 이후 강릉청년동맹이 결성되면서 강릉지역 사회운동은 새로운 양상을 띠었다. 이후 순차적으로 결성된 신간회 강릉지부, 근우회 강릉지부, 강릉농공고독서회, 강릉농민동맹, 강릉농민적색조합, 강릉 조선공산당재건동맹 등은 항일독립이라는 궁극적 목표 아래 청년계몽운동, 농민운동, 사회운동 등을 전개하였다.
1927년 신간회강릉지부는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성향의 사람들이 합작하는 형태였다. 이후 강릉지역 사회운동은 점차 사회주의 인사들이 주도해 가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전협계(全協系) 출신인 강익선과 조국환 등이 강릉농민동맹 결성을 주도한 이후 신간회에 참여하였고, 강릉공산청년동맹 결성과 활동에 적극 참여한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강릉지역 사회운동의 흐름은 1920년대 초는 강릉청년회를 중심으로 계몽적 성격의 청년운동을 전개하였고, 1925년 이후 농민운동으로 변화되었으며, 1927년 신간회가 구성되면서 좌우 협력 형태로 전개되다가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농민․노동자를 위한 사회주의 운동으로 확산되었다.
영문 초록
The paper looks at the purpose of forming a social organization in Gangneung and the process of its activities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The Gangneung Youth League staged an enlightened social movement, mainly focused on sports activities.
The Shinganhoe s Gangneung branch organized in 1927, is in the form of a joint venture between nationalist and socialist figures. The center of the social movement in Gangneung gradually began to be led by socialist figures. Kang Ik-sun and Cho Kuk-hwan, former members of the Jeon Hyeop Gye(全協系), participated in the new association after leading the formation of the Gangneung Peasants Alliance
Therefore, the Gangneung Youth League carried out an enlightened youth movement, the Gangneung Farmers Alliance launched a farmers movement, and after 1927, the Shinganhoe s Gangneung branch carried out a social movement in the form of coopera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nd entering the 1930s, a socialist movement for farmers and workers spread in the Gangneung area.
목차
Ⅰ. 머리말
Ⅱ. 사회단체 결성의 목적과 과정
Ⅲ. 사회단체의 주요 활동
Ⅳ. 참여 인사들의 활약과 성향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7세기 잉글랜드 혁명기 공화주의 자유론
- 프랑스 한인여성의 이주양상, 1960-1990
- 인간사(人間事)에 관여하는 수호신(守護神)의 신화적 의미와 루마니아 문학에서의 잔존 양상 -세시풍속과 절기, 풍습으로의 정착 양상을 겸하여-
- 여성의 정치적 리더십과 유럽통합: 시몬느 베이유(Simone Veil)의 삶과 유럽통합 정치를 중심으로
- 앤더슨의 『상상된 공동체』와 아르헨티나 민족주의에 대한 재검토
- 케네디의 현실주의 베트남 정책 거부 -냉전외교의 한계-
- 체제전환 이후 폴란드 및 러시아 역사영화에 내재된 국가정체성 재확립의 영상기호에 대한 탐색
- 루이 16세의 <관용칙령>과 얀센주의 운동
- 베일논쟁의 정치화와 이슬람 여성의 탈정치화 - 베일논쟁은 이슬람 여성의 주체를 어떻게 삭제하는가? -
- 미르체아 엘리아데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수용과 변용 : 소설『가우데아무스』와『새로운 삶』
- 에머슨의 초월주의와 미국의 금욕적 서사시
- 1920~1930년대 강릉지역 사회운동의 전개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토기를 통해 본 고구려의 신빈 영릉진고성 운영 시기 검토
- 신라의 소백산맥 서쪽 지역 진출과 지방지배 전략 —성곽-고분군 체계를 중심으로
- 익산지역 백제 사찰의 입지와 축조 공정 검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