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랑스 한인여성의 이주양상, 1960-1990
이용수 59
- 영문명
- The Aspects of Korean Women’s Migration in France, 1960-1990
- 발행기관
- 한국세계문화사학회
- 저자명
- 문지영(Ji-Young Moon)
- 간행물 정보
- 『세계역사와 문화연구』세계역사와 문화연구 제51집, 225~2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일부 한인이 여러 경로를 거쳐 프랑스로 이주했지만 한인이주가 본격화한 것은 한국전쟁 이후 유학생이 증가하면서부터다. 프랑스 한인의 대부분은 정주나 시민권 획득을 위한 목적의 이민보다는 학업이나 사업을 위한 단기 이주를 해온 경우에 해당한다. 프랑스 한인이주의 특징은 산업화 사회에서 다른 산업화 사회로의 자발적이고, 단기적이며, 여성이 지배적인 이주양상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특히 프랑스 한인여성의 이주는 집단적 노동이주 또는 난민의 양상을 띠는 중국과 동남아의 다른 아시아공동체 여성들과 달리 가족재결합 정책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고학력의 젊은 미혼
여성을 중심으로 하는 학업·결혼·취업 그리고 국제입양 등 개별이주의 특징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독특한 성격을 지닌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해외이주법이 제정된 1960년대 초부터 해외여행 자유화 조치가 시행된 1980년대 말까지 프랑스로 이주한 한인여성의 이주양상 및특징을중심으로 살펴보고자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s migration to France from the early 1960s when the overseas immigration law was enacted in Korea to the late 1980s when the liberalization
of overseas travel was implemented there.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some Koreans moved to France through various routes, but Koreans’ migration began in earnest, especially with the increase of Korean
students going there for study after the Korean War. Most Koreans in France are short-term migrants for study or business rather than for settlement or citizenship. The characteristic of Korean’s migration to France is that it assumes
the aspects of voluntary, short-term and female-dominant migration from an industrialized society to another industrialized society. In particular, the aspects of Korean women’s migration to France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n women who moved to other continents and played a secondary role under patriarchal authority. Additionally, their migration is exceptional in the fact that it was little affected by the family reunion policy, unlike the case of other Asian communities’ women which takes the aspect of collective labor migration or refuge, and that i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individual migration for study, marriage or employment centering on highly-educated young single women.
목차
Ⅰ. 머리말
Ⅱ. 프랑스 이주정책과 ‘이주의 여성화’
Ⅲ. 프랑스 한인여성의 이주양상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7세기 잉글랜드 혁명기 공화주의 자유론
- 프랑스 한인여성의 이주양상, 1960-1990
- 인간사(人間事)에 관여하는 수호신(守護神)의 신화적 의미와 루마니아 문학에서의 잔존 양상 -세시풍속과 절기, 풍습으로의 정착 양상을 겸하여-
- 여성의 정치적 리더십과 유럽통합: 시몬느 베이유(Simone Veil)의 삶과 유럽통합 정치를 중심으로
- 앤더슨의 『상상된 공동체』와 아르헨티나 민족주의에 대한 재검토
- 케네디의 현실주의 베트남 정책 거부 -냉전외교의 한계-
- 체제전환 이후 폴란드 및 러시아 역사영화에 내재된 국가정체성 재확립의 영상기호에 대한 탐색
- 루이 16세의 <관용칙령>과 얀센주의 운동
- 베일논쟁의 정치화와 이슬람 여성의 탈정치화 - 베일논쟁은 이슬람 여성의 주체를 어떻게 삭제하는가? -
- 미르체아 엘리아데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수용과 변용 : 소설『가우데아무스』와『새로운 삶』
- 에머슨의 초월주의와 미국의 금욕적 서사시
- 1920~1930년대 강릉지역 사회운동의 전개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토기를 통해 본 고구려의 신빈 영릉진고성 운영 시기 검토
- 신라의 소백산맥 서쪽 지역 진출과 지방지배 전략 —성곽-고분군 체계를 중심으로
- 익산지역 백제 사찰의 입지와 축조 공정 검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