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루이 16세의 <관용칙령>과 얀센주의 운동
이용수 119
- 영문명
- The Edict of Toleration of Louis XVI(1787) and Jansenism
- 발행기관
- 한국세계문화사학회
- 저자명
- 김충현(Chung-Hyun Kim)
- 간행물 정보
- 『세계역사와 문화연구』세계역사와 문화연구 제51집, 29~5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787년 루이 16세가 선포한 <관용칙령>은 결혼과 출생, 장례와 매장 및 직업과 관련하여 위그노들에게 시민의 권리를 보장해주었다. 이를 가능하게 했던 요인 중에 얀센주의자들의 역할이 특히 주요했다. 얀센주의자들은 경건한 내면의 변화와 그에 상응하는 성사를 주장하여, 신앙의 문제를 법적으로 통제 할 수 없는 내면의 문제로 바꾸어 인식의 전환을 이루었다. 교황의 <우니게니투스> 교서에 저항하면서, ‘교황의 명령이 프랑스 시민에게 효력을 미칠 수있는지’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킴으로써 종교문제와 ‘시민’의 문제를 분리시켰다. 또한 <고해증명서>에 의해 박해받으면서 ‘강요’가 ‘종교적 실수’를 바로잡는 좋은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위그노들에 대한 관용을 주장했다. 이러한 얀센주의자들의 노력으로 위그노들은 <관용칙령>을 통해 시민의 권리를 보장받게 되었다.
영문 초록
In 1787, with the Edict of Toleration, Louis XVI granted the Huguenots civil status. He secured their civil right for the marriage, the birth, the funeral, the burial and the occupations. All the circumstances of Mid 18th century were
sufficient to promote the Edict of Toleration. Specially, the Jansenists played it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Edict of Toleration.
The Jansenists claimed original sin and godly inward transformation criticizing the Catholic church for its too much outwardly observable sacrament. Through revealing that the faith was the matter of the inner heart and would not be
condemned by the law, they played the leading role to change the social ideas.
And their objections went to the heart of the broader opposition to Unigenitus and stiffened the controversy over the matter of ‘the Roman pope’s control over the french clergy’. It secularized French society and then separated ‘citizenship’ from ‘religion’. While they were persecuted by the ‘Billet de Confession’ by the Catholic church, they claimed that the enforcement was not the good way to correct the religious error and then suggested the toleration for the Huguenots.
According to these contributions of the Jansenists, the Huguenots had achieved the Edict of Toleration which secured their civil right
목차
Ⅰ. 서론
Ⅱ. <관용칙령>을 향한 여정
Ⅲ. <관용칙령> : ‘시민적’ 관용을 위하여
Ⅳ. <관용칙령>과 얀센주의 운동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7세기 잉글랜드 혁명기 공화주의 자유론
- 프랑스 한인여성의 이주양상, 1960-1990
- 인간사(人間事)에 관여하는 수호신(守護神)의 신화적 의미와 루마니아 문학에서의 잔존 양상 -세시풍속과 절기, 풍습으로의 정착 양상을 겸하여-
- 여성의 정치적 리더십과 유럽통합: 시몬느 베이유(Simone Veil)의 삶과 유럽통합 정치를 중심으로
- 앤더슨의 『상상된 공동체』와 아르헨티나 민족주의에 대한 재검토
- 케네디의 현실주의 베트남 정책 거부 -냉전외교의 한계-
- 체제전환 이후 폴란드 및 러시아 역사영화에 내재된 국가정체성 재확립의 영상기호에 대한 탐색
- 루이 16세의 <관용칙령>과 얀센주의 운동
- 베일논쟁의 정치화와 이슬람 여성의 탈정치화 - 베일논쟁은 이슬람 여성의 주체를 어떻게 삭제하는가? -
- 미르체아 엘리아데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수용과 변용 : 소설『가우데아무스』와『새로운 삶』
- 에머슨의 초월주의와 미국의 금욕적 서사시
- 1920~1930년대 강릉지역 사회운동의 전개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토기를 통해 본 고구려의 신빈 영릉진고성 운영 시기 검토
- 신라의 소백산맥 서쪽 지역 진출과 지방지배 전략 —성곽-고분군 체계를 중심으로
- 익산지역 백제 사찰의 입지와 축조 공정 검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