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덤마을 주민들의 경험과 장소애착 : 돌산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0

영문명
The Experience and Attachment of Place for the Residents of Gravesite Village : Focusing on the Case of Dolsan Village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차윤정 차철욱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52집, 631~66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장소란 단순히 인간이 살아가는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구성된 다양한 차원의 의미들이 축적된 공간이다. 인간은 심리적 측면에서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고 애착을 느낌으로써, 그리고 행위적 측면에서 삶의 터를 만들고 이웃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공간을 구체적 장소로 만들어 나간다. 이 글은 공간이 어떻게 구체적인 장소로 만들어져 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돌산마을을 사례로 하여, 경관을 통한 주민들의 장소 의미와 장소 애착의 형성, 삶의 터를 만들어가는 주체들의 행위와 경험을 살펴보았다. 돌산마을의 대표적 경관인 무덤은 이곳이 산 사람들의 생활공간이 아니며, 국가로부터 배제된 사람들의 삶터라는 중층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이주 초기 외부의 시선과 무덤이라는 경관으로 인해 형성되었던 장소에 대한 부정적 의미는, 이곳이 살아야만 하는 장소라는 인식과 함께 긍정적 의미로의 환치가 일어난다. 장소에 대한 의미의 환치는 마을 사람들의 장소애착의 출발점이자 장소만들기 행위의 전제가 된다. 장소만들기의 또 다른 측면은 안정적 주거권 확보, 전기·상수도 등의 사회기반시설 확보 같은 마을의 문제를 해결하는 주민들의 행위에서도 확인된다. 배제된 삶의 경험과 주어진 조건을 스스로 바꾸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은 주민들의 공동체주의 정신과 네트워크 형성을 촉진시켰고, 이를 통해 타협과 저항을 조율하면서 마을의 중요한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행위들은 다시 장소애착으로 연결되는 순환적 과정을 보인다. 돌산마을 주민들의 장소애착과 이에 기반한 행위들은 배제된 지역의 장소만들기 과정의 모습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A place is not merely a physical space in which humans live. It is a space accumulated with various dimensions of meanings that are constructed by human beings. Therefore, human beings make space into a specific place where lives are carried out by giving meaning and forming attachment to the space on a psychological level, and by constructing a foundation for life and forming network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s on a behavioral level. Focusing on the case of Dolsan vill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rmation of meaning and attachment for place by residents through landscape, and the actions and experiences of the subjects who construct the foundation for life in order to find out how space is concretely made into a place. The grave, which is a representative landscape of Dolsan village, is not a living space for the people who are alive, but instead carries the superimposed meaning as a life-base for those who were excluded by the country. The negative meaning formed for this place during the early migration days due to the landscape as a grave and the view from the outside was replaced with a positive meaning with the perception that it is a place in which migrators had to live. For the villagers, such a replacement of the meaning of place is a prerequisite to the act of placemaking and a beginning point for place attachment. Another aspect of placemaking is also identified in the actions of the residents solving village problems such as securing a stable right for dwelling and social infrastructures including electricity and water services. The experiences from living excluded lives and the circumstances that left the residents no other options but to change the given conditions on their own facilitated communal spirit and network formation among them, through which important village problems were solved as compromises and resistances were arbitrated. A circular process can be found as these actions were then connected to place attachment. Place attachment of the Dolsan village residents and their actions based on it revealed the process of placemaking in an excluded area.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돌산마을 주민의 이주와 정착
Ⅲ. 돌산마을의 경관과 장소 의미
Ⅳ. 경험과 장소만들기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윤정,차철욱. (2012).무덤마을 주민들의 경험과 장소애착 : 돌산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52 , 631-662

MLA

차윤정,차철욱. "무덤마을 주민들의 경험과 장소애착 : 돌산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52.(2012): 631-6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