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혼돈과 동경이 빚어낸 자아상실 -1930년대 조벽암(趙碧岩) 시인의 경우

이용수 11

영문명
Loss of self brought by confusion and longing - In case of a poet, Jo Byeok-Am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동순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46집, 331~36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인 조벽암(趙碧岩:1908~1985)의 문단활동은 대략 세 구간으로 정리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시집 『향수(鄕愁)』(1938)발간시기, 두 번째는 해방 이후 시집 『지열(地熱)』(1948) 시기, 세 번째는 월북 이후인 시집 『벽암시선』(1957) 발간 시기이다. 이 가운데서 첫 번째 구간의 특성은 오로지 혼돈으로 압축된다. 그 까닭은 습작기 시인들의 기질적 혼돈이 빚어낸 일정한 수준을 시인이 끝내 극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후 7년의 공백을 맞이하게 되는데, 이는 의지에 따른 절필이아니라서 자신감의 상실과 무력감의 작용이다. 그의 생애에서 가장 돋보이는 시기는 시집 『지열』이 발간된 해방 이후 약 4년 동안의 기간이다. 이 시기에 시인은 그동안 소통이 차단된 정신적 운행의 폭을 모색하게 되는데, 그 대안으로 선택된 것이 사회주의 사상에 기초한 작품인식과 가치관이었다. 우리는 이를 조벽암이 다가간 동경의 세계라 일컫는다. 사회주의 조국의 건설이라는 이상과 동경에 심취한 조벽암은 결국 북행을 결심하게 되었고, 남한에 고향을 둔 실향민의 한 사람으로 북한에서 자신의 삶을 살아가게 된다. 하지만 북에서 발표한 『벽암시선』과 기타 자료롤 통해 확인해본 시인의 궤적은 해방 이전의 혼돈 속으로 또다시 빠져든 경로에 다름 아니었다. 시인이 북에서 심취했던 사회주의 취향은 결국 낙후하고 지리멸렬한 교조주의와 그 미화를 위한 도구적 성격에 불과했던 것에 불과하였다. 식민지시대에 하나의 명쾌한 정신적 대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끝없이 사춘기적 혼돈을 거듭했던 시인은 해방시기에 눈부신 일탈과 변화를 가질 기회를 가졌었다. 그러나 그가 선택했던 북한문단의 창작풍토와 경향은 시인의 식민지적 혼돈을 한층 강화시켰을 뿐 아니라 창작의 중심을 해체시켜 완전한 자아상실 상태에 이르도록 만들었다. 월북 이후에 발표한 시작품에서 이미 1948년 이전의 시인적 자아와 그 개별성은 완전히 해체 소멸되고 외피만 겨우 남아서 유지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은 조벽암의 시작품이 지니고 있는 혼돈의 특성을 미세하게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분단시대 매몰문학의 한 단면을 규명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영문 초록

The most distinguishing period in his poetic lifetime is a period of about four years, from the year of Korean Liberation to the year when the poetry collection Jiyeol(1948) is published. At that time, he groped for the width of spiritual movement which is cut off from communication. As an alternative plan for that, he came to choose the value and work recognition based on socialism. We call his alternative as a world of longing which he stepped in. After all, immersed in the ideal and longing, that is, the construction of socialistic country, he decided to go to the North, where he lived his life as one of the displaced persons leaving his hometown in South Korea. The tendency and features of the literary circle of North Korea made Jo Byeok-Am’s colonial confusion reenforced, and also made his self lost by disjointing his center of creation all the more. In his poetic works published after going to the North, his poetic self and its individuality is disjointed and perished, and only their appearance existed, This thesis is to analyze closely the characteristics of confusion Jo Byeok-Am’s poetic works have, and also by doing this analysis, try to examine out a feature of a buried literature in the era of divided country. In addition, the effort of distracting and compiling his own individuality which is confirmed in his literary trace is progressed. It is going to be one of the activities indispensible to the studies on Jo Byeok-Am’s poetry and a buried literature in the era of divided countr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관념취향의 기질과 미숙성이 빚어낸 혼돈
Ⅲ. 창작방법의 전체경과에서 확인되는 긍정적 측면
Ⅳ. 맺는 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순. (2010).혼돈과 동경이 빚어낸 자아상실 -1930년대 조벽암(趙碧岩) 시인의 경우. 민족문화논총, 46 , 331-364

MLA

이동순. "혼돈과 동경이 빚어낸 자아상실 -1930년대 조벽암(趙碧岩) 시인의 경우." 민족문화논총, 46.(2010): 331-3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