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식민지 시기 어문운동의 결산으로서의 s『文章』(1)

이용수 111

영문명
“Munjang” as the determinative factor for the Language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era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김효재(Kim, Hyo-jae)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1집, 41~7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조선광문회의 말모이 편찬 사업이 계명구락부로 이어지고, 조선어학회로 계승되는 측면과 함께, 1910년대부터 1930년대 후반까지 조선어 아카이빙작업이 수행된 과정에 관심을 가지면서, 식민지 시기 어문운동의 결산으로서 [문장]誌의 의의를 묻는 연구 기획의 출발점에 해당한다. 조선어 어문운동은 조선 문학의 성과 및 발전과 긴밀하게 연동되어 있다는 것을 길잡이로 하여, 어문학자와 문학인의 모범적인 공조를 통해 조선어와 조선 문학의 자산이 결집된 장으로, [문장]誌의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매체로서 [문장]은 잡지 출판 및 유통이라는 근대적 제도를 통해, 조선의 언어와 문학, 그리고 예술품과 이전 시대의 구술 문학, 조선학 및 어학 관련 성과를 모았고, 또 그러한 성과들이 [문장]에 모일 수 있는 통로를 마련했다. 이와 같은 모음(集)은 어문운동과 연결지을 때, [문장]이 조선어의 곶간지기이자, 채집가로서의 역할에 얼마나 충실했었는지를 입증한다. 무엇보다 이윤재의 도강록(渡江錄) 주역과 백석의 북방에서(北方에서) 는 작가의 창작과정 전체가 작가 홀로 모든 채집을 감당해야 하는 고립된 작업이 아니라, 안정된어문 환경과 학적 토대가 문학어 생산에 기여한 사례로 의미화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and the determinative role of the magazine “Munjang” and its connection to the Language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era. The author also explores the magazine’s connection with the compilation of “Malmoi” by the Gemyong-Gurak-Boo(啓明俱樂部) and the aspects inherited by the Joseon Gwangmunhoe(朝鮮語學會); as well as the Archiving of the Joseon language from the 1910s through the late 1930s. Assuming that the Joseon Language Movement is closely linked to the development and achievements of the Joseon Literature, the author evaluates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Munjang” as the common ground for cooperation between literary scholars and literary figures. Thus, through the modern system of magazin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Munjang” provided the necessary medium for gathering the achievements not only of Joseon’s current language and literature, but also its artworks, the previous era’s Oral Literature, Joseon Studies(朝鮮學) and Language. Furthermore, when linked to the Language Movement, such a collection is a proof that “Munjang” had a significant importance and was like a ‘Gotganjigi’-a guardian of Joseon’s language. Finally, by examining Lee Yoon-jae’s “Dogangrok”(渡江錄) and Baekseok’s poem “in Bukbang北方”(In the North), the paper highlights the creative process not as an isolated product of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a writer, but rather as a as a product of a stable language environment and academic approach which had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a literary language.

목차

1. 문제 제기 : “集”과 [文章]
2. 어문운동의 결실과 “大星座”의 꿈
3. [문장]의 문학 기획 : 조선어 아카이빙의 가능성
4. 결론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효재(Kim, Hyo-jae). (2019).식민지 시기 어문운동의 결산으로서의 s『文章』(1). 구보학보, 21 , 41-70

MLA

김효재(Kim, Hyo-jae). "식민지 시기 어문운동의 결산으로서의 s『文章』(1)." 구보학보, 21.(2019): 4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