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과교육에서 통합의 지향점

이용수 49

영문명
The Orientation of Integr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PAE), Based on Oakeshott s Theory of Two-fold Structure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지연(Choi, Jiyeon)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1권 제4호, 285~30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실과교육에서 실생활 반영, 실생활과의 교육 맥락 공유 등의 이유로 통합은 매우 강조된다. 이 연구는 현재 실과교육 분야에서 통합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어떠한 유형으로 통합이 논의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세계와 마음을 이해하는 인식론적 가정인 중층 구조 이론을 근거로 실과교육에서 지향해야할 통합의 관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과교육 분야에서 통합의 유형은 크게 이론적 탐색, 실과 중심 교과 통합, 타 교과 중심 실과 통합, 주제 중심 탈 교과 통합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이중 통합 모형만을 제시하는 이론적 탐색은 4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실과 중심 교과 통합은 35.4%, 타 교과 중심 실과 통합은 10.1%, 주제 중심 탈교과 통합은 16.5%였다. 중층구조의 인식론적 가정에 기초하여 실과에서 통합이 추구해야할 지향점을 제안하면 첫째, 실과는 세계를 반영한 하나의 양상으로서의 교과라는 명시적 측면과, 그 양상의 기준, 본질이 되는 세계(마음)를 추구한다는 묵시적 측면을 모두 담고 있다. 따라서 실과교육에서 통합은 동기, 심리, 의도라는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적 통합에 그 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마음 안에서의 통합 과 모종의 관련을 맺을 때 실과교육은 의미를 갖는다. 둘째, 실과교과 내에서 가정, 기술, 농업, 정보, 진로, 환경 등의 실과 교과내용은 실과가 학문적 대상으로 하는 세계(생활양식/인공세계)를 반영한 양상이라는 명시적 측면과, 각 실과교과내용은 실과가 학문적 대상으로 하는 세계를 미발의 표준으로 삼고 있다는 면에서 묵시적 측면을 동시에 지닌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실과교육에서는 어떻게 하면 실과의 각 교육내용을 통합하여, 혹은 타 교과와 연계하여 학생들에게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가에 국한하여 통합의 문제를 다루는 방식에서 벗어나 중층의 세계를 가정한 구조 하에서 실과교과내용들이 어떠해야 학생의 마음과 교육내용의 통합을 이루게 되는지 검토해야 하고, 가정, 기술, 농업 등 상이해 보이는 실과의 교육내용들이 한 데 어우러져 그것들이 어떻게 학생의 전인적 성장에 기여하게 되는가를 설명하는 방식으로서 통합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perspective of integr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PAE) based on two-fold structure theory, which was an epistemological assumption that understood the world and mind.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 an analysis of the research related to integration in the field of PAE was carried out, and based on the analysis, the direction of integration in the PAE field was proposed. The types of integration in the PAE field were divided into theoretical exploration, practical arts (PA) centered other subjects integration, other subject centered PA integration, and theme centered extra-curriculum integration. Among them, 40% of the theoretical exploration was the highest, 35.4% of the PA-centered other subjects were integrated, 10.1% of the other subjects were PA-integrated, and 16.5% was the theme-centered extra-curriculum integration. The orientations of integration in the PAE field based on the philosophical and epistemological assumptions of the two-fold structure of the world (mind) were as follows. First, PAE integration did not place a focus on methodological integration at the level of motivation, psychology, and intention. PAE was meaningful when it was related to integration in the mind of the student . Second, PAE had to move away from integration as a way to efficiently teach students. Thus, under the assumption of a two-fold world,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ubject matters of PA created the integration of students minds and subject matters had to be examined. In addition, integration of different subject matters of PA, such as home economics, technology, agriculture, and so on, contributed to the overall growth of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실과교육에서 통합의 유형
Ⅲ. 실과교육에서 통합의 지향점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연(Choi, Jiyeon). (2018).실과교육에서 통합의 지향점.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1 (4), 285-304

MLA

최지연(Choi, Jiyeon). "실과교육에서 통합의 지향점."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1.4(2018): 285-3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