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의 의생활 단원 분석

이용수 94

영문명
Analysis of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Units in Practical Arts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윤주(Cho, Youn-joo)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1권 제4호, 249~26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실과 검정교과서의 의생활 단원의 외적, 내적 체제 분석을 통해 수업의 내실화와 교과서 선정의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다양한 교과서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생활 단원은 총 3개 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5학년 ‘안전한 가정생활’, ‘자원과 자립’의 2개 단원, 6학년 ‘가정생활’의 1개 단원에 배치되었다. 둘째, 단원구성체제는 도입, 전개, 정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2011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해 볼 때, 토의·토론·협동 등의 활동이 많아지고 배치변화는 달리 나타났으나 성취기준, 학습내용 요소 등에 큰 변화는 없었다. 셋째, 내용 배치방식은 ‘옷 입기와 의생활 예절’, ‘안전한 옷차림’, ‘옷의 정리와 보관’에서는 ‘본문 배치형’이, ‘생활 소품 만들기’의 경우 ‘체험활동 실습’이 대부분 교과서에서 구성되어 있었다. 넷째, 대부분의 학습요소들은 ‘그림, 사진 등과 함께 자세한 문장으로 내용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따라서 종이책 이외의 동영상 자료 등의 여러 가지 입체적인 보조 자료를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단원 보조 자료는 ‘본문 보충 또는 심화’가 가장 많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보다 더 다양한 보조 자료의 양적, 질적 개발이 필요해 보였다. 여섯째, 의생활 단원의 체험활동은 ‘개별활동’과 ‘모둠활동’이, 자료 제공은 ‘설명목적’과 ‘학습활동’이 거의 비슷한 비중을 두고 제시되었다. 일곱째, 교과서 평가 유형은 대부분 ‘수렴적 평가’로 제공되었다. 수렴적 평가와 확산적 평가가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선택학습 활동을 다양하게 구성하고, 관련된 여러 가지 보조 자료를 활용한 실습활동 등으로 창의적 활동과 사고를 확대할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교과서 내 변화된 내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사후 관리 체계도 필요하며, 다각적인 후속 연구로 교과서 선정이나 교재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outer and inner system of the newly developed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uni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base line data for the enhancement of class efficiency and future development of diverse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wo units of Clothing & Textiles, part of Home Economics, were assigned to the fifth grade safe home life and resources and independence while one unit was assigned to the sixth grade home life . Second, units are organized into a system that includes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arrangement. Compared to the 2011 Revised Curriculum,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the placement, but the achievement criteria and learning contents do not show much difference. Meanwhile, discussions, debate, and cooperative activities have been increased. Third, regarding the format of the contents, ‘dressing & clothing & textile manners’, ‘safe dress’, ‘arrangement & storage of clothes’ used ‘main text format’ while most textbooks applied ‘experience activities’ for ‘making household items’. Fourth, most of the learning elements were presented by explaining the contents as using words, with some photos and pictures. Therefore,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such as video materials should be used. Fifth, ‘main text supplement or deepening’ was the most common type of supplementary material. It seem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upplementary materials by including various types of materials. Sixth, experience activities were divided almost equally into ‘individual activities’ and ‘group activities’ while learning materials were divided into ‘explaining purposes’ and ‘learning activities’ with similar weights. Seventh, most textbooks are assessed using ‘convergence evaluation’. It seems better to balance convergence evaluation methods and diffusion evaluation methods.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re effort is required to diversify ele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prepare the necessary supplementary material so that creativity can be developed through practical activities. An ex-post management system is also needed to promptly respond to textbook changes. Moreover, diverse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help with textbook selection and teaching material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윤주(Cho, Youn-joo). (2018).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의 의생활 단원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1 (4), 249-268

MLA

조윤주(Cho, Youn-joo).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의 의생활 단원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1.4(2018): 249-2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