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야기나누기 시간에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 만 3세 학급을 중심으로

이용수 301

영문명
Analysis of group time interaction: Focusing on age group three classroom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정미라(Jung, Mi-Ra) 박경진(Park, Kyung-Jin) 이병호(Lee, Byung-Ho)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2권 제4호, 593~61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 세 유아교사 명의 이야기 나누기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교사의 이야기나누기 인식과 그에 따른 교사 유아 상호작용 양상을 교사개시 질문 단계 유아응답 단계 교사 피드백 단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조사하는데 목적으로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 지역 개 어린이집의 만 세 담임교사 명과 해당학급의 유아이다 연구는 주간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수업 동영상과 면담자료 연구일지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료 분석은 와의 수업분석 준거를 바탕으로 교실 내 상호작용을 전사하여 질적 분석을 실행하고 상호작 용의 유형을 요약하기 위하여 보완적인 목적의 양적자료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참여 교사들의 이야기 나누기에 대한 인식은 이야기 들려주기 와 경험 구조화하기 두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교사개시 질문단계에서 교사들의 발문 정도는 폐쇄형 질문하기 설명하기 가 나타났으며 개별 교사의 이야기 나누기 인식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야기나누기에 참여한 유아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유아들은 대답 하기 단답형 단계적 확산 질문하기 소극적 반응 주의분산반응 의 반응유형을 나타내었다 연구 참여 교사들은 참여 유아들의 대답하기 반응과 주의분산 반응이 교사의 이야기 나누기 인식과 관련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교사피드백 단계에서 피드백 중 수용하기 재질문하기 가 나타났으며 교사의 피드 백하기 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사고를 확장하기 위한 칭찬이 아닌 제한적인 질문 방법을 활용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본 사례연구를 통하여 누리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양상을 살펴보는 기회를 가졌고 이야기 나누기를 통한 유아의 사고 확장을 위한 교사의 역량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group time and their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during group time.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6 daycare center teachers and 92 three year old children from Kyunggi Province and Seoul area.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from classroom teaching video recording, interview recording, and research journal, for 7 weeks. This study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ut also included quantitative data in order to summarize the diversity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The study result indicates that the participant teachers’ perception of group time included ‘story telling’ and ‘constructing experience.’ In the ‘Initiate’ stage, the participant teachers’ questions included ‘closed question’& ‘explanation’ and each teacher differed by the type of group time perception.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 teachers used praise in a limited way, which failed to encourage children’s expanded thinking. In the “Response” stage, the participant children’s response included ‘answering’, ‘questioning’, ‘passive response’, and ‘distraction.’ The participant teachers explained that their attitude on group time influenced children’s response in specific ways. The “Feedback” stage included interaction of ‘feedback-accepting, requestion’ & direction by teacher. Based on this case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educators need to redevelop the concept of a meaningful group time, and encourage children’s ability by developing teacher’s group time skill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미라(Jung, Mi-Ra),박경진(Park, Kyung-Jin),이병호(Lee, Byung-Ho). (2018).이야기나누기 시간에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 만 3세 학급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 (4), 593-618

MLA

정미라(Jung, Mi-Ra),박경진(Park, Kyung-Jin),이병호(Lee, Byung-Ho). "이야기나누기 시간에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 만 3세 학급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4(2018): 593-6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