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재의 경학사상 연구

이용수 114

영문명
An Analysis of Ganjae’s Study of the Confucian classics : Based on Daehakgieui’s Annotation System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길태은(Gil, Tae-eu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6輯, 225~269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간재 전우의「大學記疑」에 나타난 경학적 연구방법을 분석한 것이다. 주석 분석은 저자의 본의에 따라 분장 분절하여 경전 해석을 外形的 특징과 記述的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외형적 특징에는 訓詁的방법과 文句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간재는 경전을 주석하면서 중요한 ‘字意’나 ‘文句’가 나오면, 그것에 대한 개념을 자세히 풀어서 전체 문장의 논리적 구조와 맥락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간재가 명덕설을 개진하는데 앞서 심을 훈고적 방법으로 해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 다음은 愚按, 自注, 絶不可曉, 似當更商, 似說不行, 俟當質問 등에서 나타나는 문구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기호낙론을 계승한 간재가 어떤 관점으로 경전을 해석하고 있는지 기술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본문 전체의 文脈이나 文義와 어긋나는 해석이 있다면 주자의 학설이라도 문제점을 수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따르는 면을 살펴보면 주자대전 을 통해 주자주를 준수하며, 다양한 타 문헌을 인용하여 주자주를 준수하며, 주자설로 타 학자의 견해를 비판한 것은 모두 주자의 해석을 따르는 것이다. 비판하는 면을 살펴보면, 혹문을 존중하고 주자 어류는 ‘未定說’이라하면서 주자설로 주자주를 비판하며, 주자소주의 ‘未精核說’을 주장하여 비판하며, 경전해석에 대한 주자어류 ‘誤記說’을 제시한 것은 모두 주자의 해석을 비판하는 것이다. 둘째, 先儒의 경전해석을 따르면서 비판도 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기호낙론계의 대학자라 하더라도 文脈의 본의가 다르게 해석되면 국외의 학자나 경전을 근거로 비판적 의견을 제시했다. 셋째, 타 학자들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여러 학자들의 경전 주석을 열거하면서 그 중에서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해석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거나 주자와 상이한 점이 있다하더라도 비판적으로 수용하였다. 이것은 당시 淸代의 학술을 무시하던 노론·낙론계의 태도나 일본을 夷狄으로만 취급하던 입장에서 볼 때, 분명 이례적인 태도였다. 이처럼 간재가 私見을 배제한 엄정한 학문 태도를 갖게 된 이유는 ‘正學을 추구하며 학자 본연의 역할을 자임한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s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study of the Confucian classics, which appears in Ganjae Jeonwoo’s Daehakgieui. By dividing sentences and clauses at this author’s discretion for annotation analysis,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interpretations of scriptures by dividing them into external and descriptive characteristics. External characteristics were further divided into exegetical and expressive methods. When annotating scriptures, Ganjae understood the logical structure and context of the overall text by fleshing out the concepts behind essential meanings or phrases. Thus, we can see that, before setting forth Myeongdeokseol, Ganjae interpreted the “heart” using the exegetical method. Next, this author studi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in the text, such as wooan(愚按), jaju(自注), julbulgahyo(絶不可曉), sadanggangsang (似當更商), saseolbulhang(似說不行), and sadangjilmun(俟當質問).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to see in what perspective Ganjae, an inheritor of the Gihonakron, interpreted the scriptures. First, Ganjae seemed to have adhered to the interpretations of Zhu Xi but, at the same time, he also criticized them. For instance, he claimed there was a need to revise the problematic parts of the scriptures in which the interpretation went against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overall text, even if the interpretation was a product of Zhu Xi’s theory. Where Ganjae closely adhered to Zhu Xi’s theory, we can see that he abided by Zhu Xi’s interpretations through Zhu Xi Daejeon, followed Zhu Xi’s interpretations when citing various other documents, and criticized the opinions of other scholars with Zhu Xi’s theory, which all show Ganjae’s compliance with Zhu Xi’s interpretations. Conversely, where Ganjae criticized Zhu Xi’s theory, we can see that he respected Hokmun and criticized Zhu Xi’s interpretation using Zhu Xi’s theory by labelling Zhu Xi eoryu a “tentative hypothesis.” He criticized this interpretation by claiming it was a “hypothesis without a core” (a comment of Zhu Xi’s) and suggested a “mistranslation” of the scripture in Zhu Xi eoryu, all of which are instances that show Ganjae’s criticism of Zhu Xi’s interpretations. Second, while following the scriptural interpretations of previous Confucian scholars, Ganjae criticized them also. For instance, he proposed critical viewpoints of even the most prominent scholars of Gihonakron if their work contradicted the original intent of the context and based his criticism on the works of foreign scholars or the scripture itself. Third, Ganjae accepted the opinions of other scholars with a critical viewpoint. For instance, he would enumerate the annotations of scriptures by many other scholars and would selectively accept those that he would deem correct and accept some critically even if they exhibited differing viewpoints from Zhu Xi’s interpretation. Given the attitude of the scholars in the Noron and Nakron factions of looking down on the academia of the Qing Dynasty,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Japanese as only barbarians, this was indeed an unusual stance. Therefore, we can consider the reason for Ganjae’s impartial attitude towards academia devoid of personal opinions to be the “results of his pursuit of correct learning and his commitment to taking up the proper role of a scholar.”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대학기의」의 주석 체제
1) 주석 분석
2) 외형적 특징
3) 記述的 특징
3.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길태은(Gil, Tae-eun). (2018).간재의 경학사상 연구. 대동한문학, 56 , 225-269

MLA

길태은(Gil, Tae-eun). "간재의 경학사상 연구." 대동한문학, 56.(2018): 225-2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