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ㆍ일 신을 가장한 사기담의 양상과 의미

이용수 22

영문명
Aspects and Meanings of Trick in the Guise of God - Focusing on and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서은경(Seo Eun-kyu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97輯, 131~15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신을 가장한 사기’ 모티프로 구성된 이야기 유형을 찾아 전개양상을 살펴본 후 인접국과의 비교를 통해 양국 설화의 특수성과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신을 가장 한 사기’는 자신의 욕망을 위해 신인 것처럼 가장하여 상대방을 속이는 사기 행위를 말한 다. 우리나라에서는 <승의 악행>과 <불새의 신탁>담이, 일본의 경우 <소의 혼인(牛の嫁 入)>와 <비둘기 제등> 담이 여기에 해당된다. 두 화형은 혼인이라는 동일한 목적, 동일한 속임수로 구성된 사기임에도 결과는 서로 상반된 양상을 보이고 있어 주목이 필요하다. 같은 목적의 유사 사기 행위가 상이한 결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내적ㆍ외적 변화가 수반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신을 가장한 사기’ 모티프를 기축으로 한 삽화의 양상과 변용을 향한 주목은 이야기의 변이를 초래하는 사회문화적 기제와 설화향유자의 의식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신을 가장한 사기’ 모티프의 원형에 다가가기 위해 먼저 고대 문헌에 나타난 ‘신을 가장한 사기’ 모티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어 이것이 중심삽화로 등장하는 한국과 일본 화형의 전개양상을 분석한 후 유사성과 특이성을 탐색하고, 성공과 실패라는 결말과 연동된 모티프 및 화소의 변용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승의 악행>과 <소의 혼인>담은 실패하는 사기담이다. 사기는 신상 뒤에 몸을 숨기고 신의 목소리를 가장하여 거짓 신탁을 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인물 갈등은 선악의 대립 관계를 보인다. 여기에 한국의 화형은 ‘홀어머니의 발원’과 ‘교활자의 참혹한 죽음’ 삽화가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선과 악의 이항 대립을 극대화함으로써 교활자의 징치를 유도하기 위한 설화향유자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일본의 화형에서는 사기 모티프가 축소되고 변형된 형태가 나타나며 죽음에 이르는 교활자도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선악의 대립 구도가 약해짐으로써 일어난 현상이라 수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불새의 신탁>과 <비둘기 제등>담은 성공하는 사기담이다. 나무 위에 올라가 불새(제등)를 날리며 거짓 신탁을 전하는 방식이다. 사기를 중심으로 한 인물 대립은 계층적 갈등 구조를 보인다. 한국의 <불새의 신탁>에서는 전형적인 사기형 인물의 등장과 함께 ‘거절당한 구혼’ 삽화와 ‘처가식구 길들이기’ 삽화의 결합이 두드러진다. 이것은 계층 간 대립을 심화시킴으로써 피지배계층의 승리를 이끌어내기 위한 동화의 결과이다. 반면 일본의 <비둘기 제등> 담은 ‘네타로’라는 비범한 인물과 함께 ‘교활자의 개과천선’삽화가 특징적이다. 이것은 사기 행위를 ‘행복’이라는 결과로 유도하기 위한 사회윤리적 동화의 모습으로 수용할 수 있다. 동일한 사기 모티프가 활용된 이야기임에도 상반된 결과로 이어지는 두 화형을 비교해 봄으로써 양국 화형의 특이성과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의 두 화형을 통해서는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이들을 대신하여 악을 응징하고자 하는 영웅적 상민의식과 새로운 가치의 실현을 꿈꾸는 설화향유자의 모습을 느낄 수 있었다. 반면 일본의 두 화형을 통해서는 갈등과 대립 해소를 통한 질서회복과 사회질서의 안정 및 상생을 추구하는 문화적 특성을 엿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their meanings of the tales of the two countries by selecting two stories composed by a motif of ‘Trick in the guise of God,’ analyzing their contents, and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the neighboring country. As for the targets of discussion, Korean tales, and , and Japanese tales, and , are selected. The tales in which the tricks in guise of God end up failing are and . The goals of the tricks are marriage and there are confrontations between good and evil. In case of of Korea, motifs of ‘prayer of widowed mother’ and ‘cruel death of a crafty man’ are revealed. This means the maximization of the binary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leads to the punishment of crafty men. The Japanese tale of has none of trick motif or its modified one and there is no crafty man who comes to the death. This is a phenomenon caused by the weakening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The tales in which the tricks in guise of God end up succeeding are and . The goals of the tricks are usually marriage and the character conflict centered on the trick reflects the structure of class conflict. reveals the combination of motifs of ‘rejected courtship’ and ‘taming in-laws’ along with the character of ‘an extraordinary protagonist.’ This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induce the victory of the subjugated class by deepen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strata. of Japan also involves characteristic illustration of ‘a crafty man who became a new man(改過遷善)’ as well as an extraordinary protagonist called ‘Netaro(寝太郎).’ The transformation can be accepted as ethical changes to link fraud to the result of ‘happiness’. The transformation of motif, focusing on ‘Trick in the Guise of God’, was the result of reflection of enjoying tale readers’ unconsciousness to link unethical deeds of ‘trick’ with success and failure. In the Korean tales, by maximizing the conflict between evil and good, evil was punished and those in power were made fun of.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ad the heroic sense of common people and their desire to realize new values. On the other hand, in Japanese tales, it can be seen that enjoying tale readers sought stability and coexistence of social order by weakening the conflict between good and evil and resolving the struggle between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신을 가장한 사기 모티프의 양상
Ⅲ. 한·일 신을 가장한 사기담의 양상
Ⅳ. 한·일 신을 가장한 사기담의 특징과 의미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은경(Seo Eun-kyung). (2018).한ㆍ일 신을 가장한 사기담의 양상과 의미. 어문연구, 97 (1), 131-156

MLA

서은경(Seo Eun-kyung). "한ㆍ일 신을 가장한 사기담의 양상과 의미." 어문연구, 97.1(2018): 131-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