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종시 지명의 역사적 의미

이용수 185

영문명
The historical meaning of Sejong City s place name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정태(Kim Jeong-tae)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96輯, 5~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세종시)에 혼재되어 있는 과거 지명과 근래 제정된 지명들과의 관계에서 그 역사적 의미, 가치를 찾는데 있다. 먼저, 세종시의 기존 지명에는 지역민들의 삶의 흔적, 문화가 담겨져 있는데, 그 중 언어적인 측면에서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그동안 이 지역에 살아온 지역민들의 전통과 생활, 문화 등을 반영한 것 이었다. 즉 ‘축적’의 결과물이다. 첫째, 한국어의 옛 모습을 볼 수 있는 고어 및 사어형을 확인하였다. 이를테면, ‘山, 高’를 의미하는 고구려어 ‘달’, ‘谷’을 의미하는 한계어 ‘실’, 그리고 ‘뫼(山)’와 같은 사어들이 화석화된 형태로 발견되었다. 둘째, 지역민들의 방언형 및 음운변화형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를테면, ‘여수(>여우), 가새(>가위)’ 등은 ‘ㅅ’의 음운사와 결부되는 방언형이고, ‘바우’(岩), ‘둠벙’, ‘고랑’, ‘모이’ 등은 이 지역의 방언형이다. 또한 이 지역의 음운변화형으로는 ‘울(<골, 谷)’에서 ‘ㄱ’ 약화 탈락형을, ‘고지>구지, 골>굴, 세>시’ 등에서는 ‘오>우, 에>이’의 모음 상승을, ‘긴>진, 키>치’에서는 ‘ㄱ’ 구개음화, ‘궉(<구 석)말>궝말’에서는 축약 및 비음동화, ‘흰바위>흠배’에서는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조음위 치동화와 축약, ‘소정이>(소젱이)>소징이’에서는 ‘이’ 모음 역행동화, 모음상승 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고유의 우리말 지명에 대한 음차, 훈차, 훈음차 등과 같은 한자어화를 통해 전통적 차자표기 방법 등도 확인하였다. 반면 현재의 신도시 세종시에는 근래(2011년) 새로운 명칭들이 제정, 부여되었다. 여 기에는 기존의 전래지명들도 반영되어 있는데, 일련의 특징들이 있다. 첫째, 법정동명 및 마을명 등은 광역지명 ‘세종시’의 세종대왕과 연계하여 순 우리말 명칭으로 특화하였다. 둘째, 지명의 역사성을 고려하여, 법정동명에 ‘종촌(宗村), 나성(羅城), 대평(大坪)’ 등 일부 전통적인 전래 한자 지명을 사용하였다. 셋째, 23개의 마을명에 대해서는 기존 전래하는 고유의 순 우리말 지명을 사용하였다. 이를테면, ‘가락골, 범지기, 도램말, 가재골, 샛골, 새뜸’ 등이다. 넷째, 신도시 조성의 대외적인 홍보를 위해 대 국민 공모를 통한 우수작(해들마을)을 사용하였다. 다섯째, 생활권별 특징과 연계되는 어휘를 사용하여 명칭을 부여하였다는 점 등이다. 이처럼 세종시의 지명은 신도시 조성에 따른 명칭 제정(2011년)이라는 변곡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지명들에 지역민들의 다양한 문화가 축적되어 있는 것처럼, 새롭게 제정된 명칭도 지역민들의 생활상이 축적되어 가면서 미래에는 지명으로서의 역사성, 전통성을 갖추게 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value in relation to the past and recent place names, which are co-existed in Sejong City. First of all, Sejong City s place names contain traces of the life and culture of its people, and we looked at the linguistic features. They reflected the tradition, life and culture of the people who had lived in this area. First, they identified old words and obsolete word that could show the appearance of the old Korean life. Second, it reflects the regional dialect and phonology variations. Third, the borrowed notation with Chinese characters was confirmed through the native Korean place names. Sejong City, a new city, has recently been given new place names. It also reflects traditional place names, which have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the statutory name and the village name were specialized in the native Korean language connected with the Great King Sejong the Great, the name of a large city. Second, considering the historical history of place names, some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in the statutory name. Third, 23 place names were used in the original Korean names, which were unique among the existing place names. Fourth, a large number of great works were used to promote the formation of a new city through a large public contest. Fifth, the place names are given using words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ife district. Despite the inflection point of designation of Sejong City s place names as a result of new city development, have the historical meaning with the past and the present. Accordingly, the new place names are expected to have historicality and traditionality as a result of the accumulated lives of local people.

목차

1. 서론
2. 세종시 지명의 역사성
2.1. 세종시의 과거 지명
2.2. 세종시의 현재 지명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태(Kim Jeong-tae). (2018).세종시 지명의 역사적 의미. 어문연구, 96 (1), 5-31

MLA

김정태(Kim Jeong-tae). "세종시 지명의 역사적 의미." 어문연구, 96.1(2018): 5-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