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Kirton의 순응-혁신 학습양식에 따른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의 적용

이용수 117

영문명
The Application of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by Kirton\ s Adaption-Innovation Learning Styl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미정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5권, 201~2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5.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50년 미국의 심리학회에서 Guilford의 SI(Structure of Intelligence)모형이 발표된 이후 지난 반세기동안 창의성은 그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 창의성의 교육가능성에 대한 연구,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모델을 개발하고 훈련하는 연구, 창의적 과정과 개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상황적인 입장에 대한 연구 등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Isaksen, Puccio & Treffinger, 1993). 국내의 경우,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에 창조적 인간,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으로 명시하고,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국가 경쟁력 기반으로 창의적 인적자원을 개발하는 것을 공공연한 목표로 제시하는 등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이 사회 각 부문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교육부, 1998; 서혜애, 조석희, 박성익, 2001).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inquiry was to search for the application of creative problem solving(CPS) model to adaption-innovation learning style.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view on CPS model and pattern of learning style were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Learners migh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learning style. CPS model was composed of 3 components, 6 stages. 3 components are understanding the problem, generating ideas, planning for action. In understanding the problem, adapters prefer being very structured and identify important data and carefully state problems. In contrast, innovators are likely to generate lots of possible problem statement from many different perspectives. In generating ideas, adapters will generate a variety of practical and useful ideas. Innovators will generate many novel and unusual ideas. In planning for action, adaptors will generate many criteria with which to analyze new ideas and patient in working out the details of a plan of action. In contrast, innovators likely to maintain the presence of novelty when generating criteria and preparing to gain acceptance. Therefore, teacher should dispose CPS model in consistence with learning style.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can be suggested: For innovative learner, at the start of teaching, it was primarily concerned with learner-directed. And it gradually shifted to teacher-directed. For adaptive learner, at the start of teaching, it was primarily concerned with teacher-directed. And it gradually shifted to learner-direc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Kirton의 순응-혁신 학습양식에 따른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의 적용
Ⅳ. 논의
Ⅴ.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미정. (2003).Kirton의 순응-혁신 학습양식에 따른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의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5 , 201-228

MLA

최미정. "Kirton의 순응-혁신 학습양식에 따른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의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5.(2003): 201-2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