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영유아 보육교사의 교직인성과 상담자기효능감이 통합교육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영문명
The Effects of Teaching Personality and Counseling Self-Efficacy on Inclusive Education Competence of Child Care Teachers for Handicapped Infants and Toddlers
발행기관
한국아동중심실천학회
저자명
김은숙
간행물 정보
『아동중심실천연구』제19권 제1호, 47~6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영유아 보육교사의 교직인성과 상담자기효능감이 통합교육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 지역 장애통합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장애영유아 보육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Cronbach’s α 계수 산출,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영유아 보육교사의 교직인성, 상담자기효능감, 통합교육 수행능력은 모두 중간 값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영유아 보육교사의 교직인성, 상담자기효능감, 통합교육 수행능력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장애영유아 보육교사의 교직인성, 상담자기효능감, 통합교육 수행능력 전체 및 각 하위 변인 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장애영유아 보육교사의 교직인성과 상담자기효능감은 통합교육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장애영유아의 교직인성 중 특히 소명의식, 학생에 대한 열정, 교육신념과 상담자기효능감이 통합교육 수행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eaching personality and counseling self-effi-cacy on inclusive education competence of child care teachers for handicapped infants and Toddler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49 childcare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working in integrate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calculati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using the SPSS 29.0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personality, counseling self-efficacy, and ability to conduct integrated education of childcare teachers with disabilities were all above the median valu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ing personality, counseling self-efficacy, and ability to perform integrated education of childcare teachers with disabilities,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teaching personality, counseling self-efficacy, overall ability to perform integrated education, and each sub-variable. Third, the teaching personality and coun-seling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with disabilities positively affect the ability to perform integrated education, and among the teaching personality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the sense of vocation, passion for students, educational belief, and counseling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bility to perform integrated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teaching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improve their ability to provide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 systematic teacher training program will be developed to support the performance of integrated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숙. (2024).장애영유아 보육교사의 교직인성과 상담자기효능감이 통합교육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중심실천연구, 19 (1), 47-65

MLA

김은숙. "장애영유아 보육교사의 교직인성과 상담자기효능감이 통합교육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중심실천연구, 19.1(2024): 47-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