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교육과 수업대화 분석

이용수 163

영문명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instructional conversation\ s analysi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수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5권, 115~13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5.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참된 교육은 교사가 학습자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일방적 강의가 아니라, 교사와 학습자가 상호작용하는 대화이다. 수업 장면에서 교사와 학생들의 의사소통 과정은 매우 다양하고 중요하며, 그 의사소통의 양상을 이해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최근 교육학에서는 수업대화 또는 수업 담화, 즉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연구자(고창규; 1986, 신혜숙: 1987, 김상희; 1995, 최진희; 1997)들이 수업 언어의 특성에 대한 탐색은 수업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 작업이 되며, 수업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효율성에 관한 논의가 가능해진다고 주장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 purpose is exploring what instructional conversation\ s analysis mean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ing the viewpoint of exploring. First, I reviewed the two-sides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and made a definition of i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 instruction has the complicate and various components, so we have to find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analysis methods to interpret it for the teacher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that can decide the quality of the instruction is the instructional conversation. We need to investigate it to discover and solve the instruction\ s problem. So I reviewed the sociolingustics, dialogue analysis theory, and teaching-learning theory that influence the instructional conversation\ s analysis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ssitance reciprocally. And I suggested that we have to use them inter-disciplinar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ther words, we need to use results of studies by sociolingustics, dialogue analysis theorists, and teaching-learning theorists for more elaborate analysis. But we have to consider viewpoint of language education in all process that collect, script, analyze, and interpret the data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Then we will be able to get meaning result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Ⅰ. 서언
Ⅱ. 국어과 수업대화의 개념
Ⅲ. 국어과 수업대화 분석의 의미
Ⅳ. 결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진. (2003).국어교육과 수업대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5 , 115-132

MLA

이수진. "국어교육과 수업대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5.(2003): 115-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