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내용선정 준거 탐색 및 적용 : 제7차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621

영문명
The investigation and application on the criteria for contents selection i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Focu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민용성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5권,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5.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식과 정보의 폭발적 확장에 따른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는 앞으로 전개될 세계 각국의 지식 전쟁을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어떤 지식이 사회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그러한 지식을 배양하기 위해 어떤 교육적 노력을 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가 우리의 절실한 교육 과업이다.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지식과 정보의 가치가 사회의 핵심을 이루기 때문에, 이미 실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기존의 암기와 재생 위주의 획일화된 교육으로는 더 이상 지식의 구성과 창출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하여 제7차 교육과정은 자율과 창의를 바탕으로 한 학생중심 교육과정의 추구를 변화의 핵심으로 한다. 제7차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교육법규에 의거하여 고시한 국가 수준의 ‘기준’임을 명시하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과정,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교원․학생․학부모가 함께 실현하는 교육과정, 교육과정 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 교육의 질적 수준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라는 성격을 제시하고 있다(교육부, 1999). 따라서 학생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수준별 교육과정,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 학습력 향상, 특기․적성 교육의 강화, 외국어 교육의 강화, 학교교육의 자율성 확대와 다양화 등을 교육과정의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제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previous studies o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contents i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the validity of contents selected was examined in the light of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content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referred to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which is characteriz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students\ elective curriculum and differentiated curriculum. The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nation\ s educational needs as well as students\ needs. In additio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should accept some aspects of curricular adopted after liberation. That is, subject-centered curriculum,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and humanistic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riteria of contents selec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general curriculum areas and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contents selection criteria were inferred from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e criteria for contents selection are as follows: First, curriculum contents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aims and objectives(consistency). Second, the contents should be within students\ learning capabilities, but the contents should be challengeable in some degree(learning ability). Third, the contents should have relevance for the learners\ needs, interests and real life(reality). Forth, the contents should be appropriate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futurities). Fifth, the construction of creative knowledge should be facilitated by the contents(creativity). On the basis of the above criteria for contents selection, the analysi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to performed. As a result of this study, \ the consistency with the educational aims and objectives\ , \ the learning ability and basic skill knowledge\ , \ the relevance to the learners\ needs and reality\ and \ the appropriateness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re in some degree applied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On the other hand, the criterion of creativity is not fully reflec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내용선정 준거 탐색
Ⅲ. 제7차 교육과정 총론의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민용성. (2003).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내용선정 준거 탐색 및 적용 : 제7차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5 , 1-22

MLA

민용성.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내용선정 준거 탐색 및 적용 : 제7차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5.(2003):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