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준별 영어 지도에 대한 실태 조사

이용수 124

영문명
A Questionnaire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glish Teaching Based on Differentiated Instruc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재근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5권, 133~14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5.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 제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시행된 초등교사의 영어 지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더나아가서, 설문 응답을 기초로 하여 초등영어 교실에서 교사가 겪는 가장 큰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3·4학년을 시작으로 2001학년부터 적용되기 시작한 제 제7차 교육과정은 수요자 중심, 즉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핵심으로 하며,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등 이전의 교육과정과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준별 교육은 현장교사들에게는 비현실적일 뿐 아니라 운영에 많은 어려움을 있다고 비판을 받아 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urvey the opin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English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urthermo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this research attempts to get several findings in the elementary classroom.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up of 22 item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3rd and 4th graders have been taught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ince 2001 and the Curriculum focused 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emphasized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at differ from former Teacher-oriented Instruction. But most teachers have reported many problems in reality and much difficulty to manage the program. Even though many attempts to adap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o the fields, the needs analysis of the fields would get us to find some kind of solutions. Teachers\ change of their recogni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ould be required to have much time and effort. Among one item of 22 in questionnaire, the change rate of the teaching method is not so high(44%). This result means the change of the National Curriculum does not impact teachers\ teaching methods but teachers\ change of recognition, their passion for teaching students is more important for the change. The worst problem is to add up teacher\ s teaching time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then, from this research we can talk about the followings: How do we develop text? Are there any ways to get the balanced grouping? How do we motivate our students? In short, for Differentiated English education, we need to try to downsize the classroom and expand the chances for teacher\ s in-service abroad for their English teaching abilit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근. (2003).초등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준별 영어 지도에 대한 실태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5 , 133-146

MLA

이재근. "초등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준별 영어 지도에 대한 실태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5.(2003): 133-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