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봉래산이 왜 부산에 있는가?

이용수 175

영문명
Why is the Mt. Bonglai in Busan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정용수(Jeong, Yongsu)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48輯, 109~13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0.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산 지명의 바탕이 된 동래현과 동평현의 의미와 양 지역의 추이를 살 펴, 근대 이후 자연스레 등장한 부산 영도에 봉래산 명칭이 붙은 연유를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해양신선문화, 곧 발해만 근역에서 발생한 신기루 현상과 그로 인해 산생된 徐市過此설화와 大蛤吐氣설까지 반영된 것으로, 이곳이 고래로 神仙文化의 영향을 받은 전통적 풍요지역이었기 때문이다. 이후 조선통신사들의 내왕으로 인해 일본의 신선관이 반영되면서 혼란을 겪는 과정 속에서도 이 땅이 삼신산이라는 우리의 주체적 신선관을 유지함으로써 官撰書인 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조차 유일하게 봉래라는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다시 동래 중심의 행정구역이 부산포가 포함된 해양으로 확대되자 그 앞바다에 있는 해상요충지도 자연스레 봉래산이란 명칭을 얻게 된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meaning of town Dongrae and Dongpyeon and the trends of both regions. It is because it becomes the basis of Busan s place name. It is the name of Bonglae Mountain in Pusan Youngdo which appeared naturally since the modern times. This reflects the story of Seobok s passing place and the story of big shell due to the mirage phenomenon that occurred in the Balhae Bay area and the result. This is because it was a traditional affluent area influenced by the culture of the Shinsen culture from ancient times. Since then, there have been visits by Korean carriers. This causes confusion as reflected in Japan s taoism. Even in this process they maintain their taoism which is the mountain of the Marine taoism So, it became the only name in Korea to have called Bonglai. Again, the administrative area centered on Dongrae is expanded to the ocean including Busanpo. The coastal core offshore is also named Mt. Bongra.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봉래산 출현의 바탕
1. 해양신선 문화의 성립
2. 한반도 남부와 서불과차 설화
Ⅲ. 부산 지명의 바탕
1. 東萊
2. 東平
Ⅳ. 釜山浦로의 확장과 봉래
1. 釜山浦로의 확장
2.《봉래고사》와 <봉래잡영>
Ⅴ. 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용수(Jeong, Yongsu). (2017).봉래산이 왜 부산에 있는가?. 동양한문학연구, 48 , 109-132

MLA

정용수(Jeong, Yongsu). "봉래산이 왜 부산에 있는가?." 동양한문학연구, 48.(2017): 109-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