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僧肇의 佛·儒·道家의 連繫 認識과 淨土論에 대한 일고찰

이용수 127

영문명
A Study on Sengzhao s Buddhist·Confucian·Taoist-Linked Knowledge and Pure Land Theory -Focus on the analysis of 「Buddha Land」 in Sengzhao s 「The commentary on the Vimalakīrti Sutra」-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장병한(Jang, Beounghan) 신성현(Shin, sunghyun)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48輯, 165~19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0.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승조는 「조론」에서 뿐만 아니라, 「주유마힐경」에서의 그의 주해에서도 老子·莊子·周易의 사상 체계를 자신의 불교학적 이론과 사상 체계의 정립에 차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예컨대 ‘不思議·해탈’의 경지를 儒家 周易의 ‘開物成務’와 老子 도덕경의 ‘和光同塵’과의 회통을 시도하고 있다. 즉 여래가 ‘부사의’의 도로써 群方을 다스려 제도하여 중생을 구제하는 것은 곧 유가의 聖人인 文王과 孔子가 천하의 뜻을 통하여 천하의 일을 정 하고 천하의 의문을 해결하여 새로운 문명의 세계를 열어가는 즉, ‘개물성 무’의 도와 연계되고 있으며, 법신대사인 유마힐이 ‘부사의·해탈’의 도를 홍포하는 것은 곧 노자 도덕경에서의 至人이 자신의 本色인 빛을 감추고 속세에 응현하여 중생을 濟度하는 즉, ‘和光塵俗’의 도와도 상통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는 당시 晉의 道恒의 無心論, 道林의 卽色遊玄論, 竺法汰의 本無論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성행하고 있던 즉, 노장적 허무에 기반을 둔 불교적 해석 체계의 왜곡을 바로 잡고, 용수의 중관·중도 사상에 기반을 둔 본래의 불교 정신을 회복하기 위한 그의 대승적 기획에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승조는 이와 같은 佛·儒·道家의 연계 인식 체계를 연장하여 그의 주유 마힐경, 「불국품」의 주해에서의 정토론 전개에도 引據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는 외래의 대승적 불교 정신에 기반을 두면서도 중국 전통의 주요 사상 체계인 도가와 유가의 철학 세계를 용합하여 대승의 정토론을 전개하고 있는데, 즉 정토와 예토의 건립의 관건을 중생 자신들의 인업에 두고 있 다는 점, 보살이 소승의 自利에만 머물지 않고 대승보살로서 적극적으로 중생을 교화하여 同事·同行을 통하여 함께 정토를 건립하고 있다는 점, 보살과 중생의 마음이 청정하면 이에 상응하여 淨土가 드러나게 된다는 心淨的 정토론 등은 5세기 초 중국 초기 불교의 대승적 정신의 확장에 하나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것이 차지하는 불교사적 의미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Sengzhao borrowed the thought systems of Laozi·Zhuang Zhou·Book of Changesnot only in his The treatise of Sengzhao but also in his The commentary on the Vimalakīrti Sutra to establish his Buddhist theory and thought system. That is, he attempted to incorporate and harmonize with Buddhist ‘mystery·nirvana’ realm, Confucian Book of Changes s ‘opening of the new civilizations to achieve business (開物成 務)’, and Laozi The Tao Te Ching s ‘harmonizing with the world (和光 同塵)’. In the annotation of 「Buddha Land」 of his authored The commentary on the Vimalakīrti Sutra, he more plainly borrowed and quoted Taoist Lao-Zhuang thoughts and Confucian thoughts ofBook of Changes than in The treatise of Sengzhao. In doing so, he tried to correct the distorted Buddhist interpretation system, which was based on the Lao-Zhuang thought s nihilism which, in Jin (晉), widely prevailed centering on Dohang (道恒) s No-Mind Theory (無心論), and on Chukbeoptae (竺法汰) s the theory that nothing is the fundamental origin (本無論). He also tried to recover the original Buddhist spirit based on Yongsu s thought of Junggwan and Jungdo under his Mahayana plan. As such, Sengzhao developed his Mahayana Pure-Land Theory by combining traditional Chinese thought systems of Taoist and Confucian philosophies, yet based on the external Mahayana Buddhism spirit. That is, the fact that the key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ure Land and the Impure Land was placed on mankind itself, the fact that Bodhisattva was not complacent only with Hinayana s self benefits, but positively enlightened mankind as Mahayana Bodhisattva, thereby establishing the Pure Land as colleagues and peers, and the Pure-Heart Pure Land Theory that if Bodhisattva and mankind have pure hearts, the corresponding Pure Land will appear - all of these could be a single test of expanding China s-early Mahayana Buddhism spirit in the early 5th century, offering profound importance in Buddhist history.

목차

Ⅰ. 서론
Ⅱ. 승조의 佛·儒·道家의 連繫 認識 體系
Ⅲ. 승조의 「佛國品」註解에 나타난 대승 보살의 淨土論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병한(Jang, Beounghan),신성현(Shin, sunghyun). (2017).僧肇의 佛·儒·道家의 連繫 認識과 淨土論에 대한 일고찰. 동양한문학연구, 48 , 165-197

MLA

장병한(Jang, Beounghan),신성현(Shin, sunghyun). "僧肇의 佛·儒·道家의 連繫 認識과 淨土論에 대한 일고찰." 동양한문학연구, 48.(2017): 165-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