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松谷 李瑞雨의 「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에 나타난 流配의 재현과 그 의미

이용수 186

영문명
The Reproduction and Meanings of Exile in Jeokbyeokbujipja Gakchesasipsu by Songgok Lee Seo-Woo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권경록(Kwon, kyong rok)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48輯, 279~319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0.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松谷 李瑞雨의 유배문학 「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에 나타난 유배와 유배지 표상 방식이 갖는 의의, 고난을 극복하는 코드로서의 유배 재현에 내포된 심리 여정이 함의하는 것을 밝히는 데에 논의의 초점을 두었다.「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는 17세기 조선의 정국동향과 이서우의 정치적 상황에 대한 대안적 반응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했다. 17세기는 왕권을 중심으로 정치세력의 역학관계가 복잡하게 전개되던 시기였다. 이서우는 麟 坪大君의 아들 三福 등과 어울려 詩社를 열고 駱洞唱酬錄을 남겼다. 이 활동이 빌미가 되어 庚申換局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富寧, 靑巖 등지로 유배되었다. 이서우는 고난에서의 탈출 방법으로 소식의「赤壁賦」를 수용, 재현했다.「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 는 7언 율시 4수, 5언 율시 6수, 7언·5언 절구 각 10수, 5언 고시 10수 1344자로 이루어졌다. 구성은 7언·5언 율시 10수, 7언 절구 10수, 5언 절구 10수, 고시 10수로 의미 단락을 이루어 4단 구성을 보인 다. 표현과 내용 면에서「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는 소식’과 ‘적벽’, ‘이서우’ 와 ‘청암’의 대비 속에赤壁賦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赤壁賦集字 各體 四十首」에서는 17세기 조선 정국에서 이서우가 처한 고난의 실체와 그것을 극복해 가는 한 인간의 욕망의 여정이 펼쳐진다. 이서우의 심리는 ① 현실인 식, ② 내면화, ③ 대체, ④ 승화 과정으로 이행되며, ‘소식’, ‘적벽’, ‘선유’, ‘신선’, ‘미인’, ‘날개’, ‘남쪽’ 등의 단어로 대체 상징된다. 이들은 ‘소식’과 ‘이 서우’, 黃州 ‘적벽’과 靑巖 ‘청벽’, ‘신선’과 ‘인간’, ‘남쪽’과 ‘동쪽’ 등의 대비 속에 선명하게 나타난다.「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에서 한양은 仙界로 설정되는 청암과 대립되는 기호체계로 구축된다. 이서우는 국토의 북쪽 끝 청암을 벗어나 한양으로 돌아가기를 갈망하며 한양을 찾아가는 길, 즉 매개적 공간에서 소식과 적벽을 매개로 선계를 상상한다. 이서우에게 한양은 자아의 이상이 존재하는 곳이 며, 한양과 선계를 갈망하는 까닭은 이상적 자아로 거듭나기 위한 것이다. 이서우의 심리 변화는 자기방어기제가 작동하는 과정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소식을 동경·회고하고 내면화함으로써 부정적 자기 현실을 지우고 눈앞의 정신적 고통을 대체시켜 삶의 긍정적 에너지로 변화시키려는 심리작용이다. 이서우의「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에 나타나는 공간 기호체계의 구축과 해체의 양상은 이러한 욕망을 일관적으로 암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ways that Songgok Lee Seo-woo represented his exile and the place of his exile in his exile literature titled Jeokbyeokbujipja Gakchesasipsu and also the implications of his psychological journey connoted in his reproduction of exile as a code to overcome hardship. HisJeokbyeokbujipja Gakchesasipsu was understood in the contexts of trends in the political situations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and Lee s alternative responses to the political situations. In the 17th century, the dynamic relations of the political power developed in complicated ways around the royal authority. Lee got along and discussed current events with Sambok, a son of Inpyeongdaegun, and left N ak do n gc han g s u r o k . The Seoins raised Gyeongshinhwanguk, citing these activities as an excuse. Once they seized power, the ones on their opposite side were banished to Buryeong, Cheongam, and other places. Lee accepted and reproduced The Battle of the Red Cliff by Su Shi as a way of escaping his suffering. Lee s Jeokbyeokbujipja Gakchesasipsu consists of four Yulsis in 7 Eon, six Yulsis in 5 Eon, ten Jeolgus in 7 and 5 Eon, each, and ten Gosis in 5 Eon, totaling in 1,344 letters. Its organization is in four layers with the semantic paragraphs grouped in ten Yulsis in 7 and 5 Eon, ten Jeonggus in 7 Eon, ten Jeolgus in 5 Eon, and ten Gosis. In terms of expression and content, it shows similar patterns to The Battle of the Red Cliff in the contrast of Su Shi and Lee Seo-woo and Red Cliff and Blue Rock. Jeokbyeokbujipja Gakchesasipsu depicts the true nature of Lee s hardship in the political situations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and his journey of desire as a man to overcome the hardship. His psychology evolves in the process of ① recognizing the reality, ② internalizing it, ③ replacing it with something else, and④ sublimating it. His mental states are replaced and represented by Su Shi, Red Cliff, Seonyu,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beautiful women, wings and the south, which appear clear in the contrast of Su Shi and Lee Seo-woo, Red Cliff in Hwangju and Blue Wall in Cheongam,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and human being and south and east. In Jeokbyeokbujipja Gakchesasipsu, Hanyang is established in a sign system opposite to Cheongam set as a world of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s. Lee has such a yearning for returning back to Hanyang by escaping Cheongam at the northern tip of the country and imagines a world of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s on the way to Hanyang or a medium space via Su Shi and the Red Cliff. Hanyang is the place where his ideal of ego lies, and he longs for Hanyang and the world of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s to emerge as an ideal ego. His psychological changes can be understood in a process of activating his self-defense mechanism. That is, it is his psychological action to erase the negative reality by yearning for, recalling, and internalizing Su Shi, replace his spiritual pain before his eyes, and turn it into positive life energy. The patterns of constructing and dissolving the spatial sign system in his Jeokbyeokbujipja Gakchesasipsu imply such desire of his in a consistent manner.

목차

Ⅰ. 서 론
Ⅱ. 17세기 정국과 李瑞雨의 삶
Ⅲ. 고난을 기억하는 방식으로서의「赤壁賦」의 수용과 표상
Ⅳ. 암울한 현실에서의 탈출을 향한 욕망의 여정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경록(Kwon, kyong rok). (2017).松谷 李瑞雨의 「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에 나타난 流配의 재현과 그 의미. 동양한문학연구, 48 , 279-319

MLA

권경록(Kwon, kyong rok). "松谷 李瑞雨의 「赤壁賦集字 各體四十首」에 나타난 流配의 재현과 그 의미." 동양한문학연구, 48.(2017): 279-3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