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여교사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478

영문명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Experience of Multiple Roles: Focusing on experienced teachers in their 40’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정희(Lee Jeong-hee) 김희수(Kim Hee-su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4호, 517~54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7.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초등 여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경험 이야기를 듣고 그 경험의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다중역할 경험의 의미와 가치를 탐구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8월부터 2017년 3월까지 5명의 참여자들을 대 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비롯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기, 의미 단위로 구분하기, 연구자의 언어로 변형하기, 통합하여 기술하기의 단계를 순환적으로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신규교사와 관리자 사이에서 유능한 경력교사로 살아내기 위해 전문적인 교사와원만한 동료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와 엄마 사이에서 분주한 워킹맘으 로 살아내기 위해 부모와 주부 및 원가족의 자녀 역할까지 수행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오롯이 ‘나’를 위한 40대의 삶을 위해 자기를 돌보고 미래를 설계하는 것으로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로부터 도출된 핵심 주제들을 초등 여교사들의 직업발 달과정과 심리적・정서적 지원방안 및 교사들을 위한 사회적지지 체제의 마련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sten to the experiences of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interpret their meanings and implications and to explore the meanings and values of multiple role experience. For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five research subjects through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during the period between August 2016 and March 2017. The data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hrough the Giorgi 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nalysis along with the cyclical process of repeatedly reading the collected data, dividing them into categories by meaningful unit, translating them into researcher’s language, and describing them in an integrated manner. The study finding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ubjects were performing their role as a professional teacher and good colleague to survive as a competent experienced teacher between new teachers and managers. Second, they were also playing the role of a parent, housewife, and even a child of family of origin to be able to manage to survive as a busy working mom while performing the job of a teacher and of a mother at the same time. Finally, the subjects have turned out to take care of themselves and to design their future to live the life of 40-year olds dedicated to themselves only. The key themes derived from these findings have been discussed in line with the career development of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measures,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upport systems for the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희(Lee Jeong-hee),김희수(Kim Hee-sue). (2017).초등 여교사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4), 517-544

MLA

이정희(Lee Jeong-hee),김희수(Kim Hee-sue). "초등 여교사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4(2017): 517-5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