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자대학생의 리더십 잠재집단 유형과 남성성, 여성성, 자아존중감 및 성격 5요인의 관계

이용수 424

영문명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Latent Class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sculinity, Femininity, Self-esteem and Big-five Personal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하문선(Ha, MoonS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4호, 37~6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7.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6년 10월~12월, 4년제 대학의 여자대학생 454명을 대상으로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여자대학생의 리더십에 대한 잠재집단 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리더십에 대한 잠재집단분석 실시 결과, 4집단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최 종 판단되었고, 각 잠재집단은 리더십-우수 집단(4.6%), 리더십-양호 집단(46.3%),리더십-부족 집단(43.6%), 리더십-심각 집단(5.5%)으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리더십의 각 잠재집단 유형 간 남성성, 여성성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다변 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성성은 리더십-우수 집단이 가장 높았고, 여성성은 리더십-우수 집단과 리더십-양호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은 리더십-우수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리더십의 잠재집단 구분에 대한 성 격 5요인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향성이 높을수록 리더십-양호집단과 리더십-우수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개방성이높을수록 리더십-우수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성실성이 높을수록 리더 십-우수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친화성이 높을수록 리더십-양호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의 리더십 수준에 따른 하위 양상과 심리내적 특성을 살펴보고, 리더십 집단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대학생 리더십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classes according to leadership based on questionnaire data of 454 female college students. First, LCA analysis showed that the leadership have four types of latent classes, and the latent classes were classified as leadership-excellent group(4.6%), leadership-good group(46.3%), leadership-deficient group(43.6%) and leadership -serious group(5.5%). Subsequently,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through MANOVA. As a result, Leadership-excellent group was the highest in masculinity and self-esteem, Leadership-excellent group and leadership-good group were the highest in femininity. Final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ig-five personality on grouping of leadership, I conducted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extraversio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leadership-excellent group and leadership-good group, and the higher openness belong to the leadership-excellent group. Also, the higher conscientiousnes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leadership-excellent group, and the higher agreeableness belong to the leadership-good grou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pecifically the latent classes according to leadership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psychological internal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문선(Ha, MoonSun). (2017).여자대학생의 리더십 잠재집단 유형과 남성성, 여성성, 자아존중감 및 성격 5요인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4), 37-63

MLA

하문선(Ha, MoonSun). "여자대학생의 리더십 잠재집단 유형과 남성성, 여성성, 자아존중감 및 성격 5요인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4(2017): 37-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