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에 관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추론 연구

이용수 325

영문명
Investigation of Factors Affecting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vi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소영(Park, So-Young) 홍사훈(Hong, Saahoon) 유장순(Yoo, Jang-Soon) 류지훈(Ryoo, Ji Ho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4호, 337~35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7.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형태, 교직경력, 통합교육 연수, 협력교수, 학교공동체 수용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K도의 초․중․고등학교 일반교사 445명의 설문 데이터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학교형태로 측정된 초중고의 구분은 통합교육운영 만족도 사이에서 유의미한 총합효과와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중․고등학교의 일반교사 보다,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 다. 학교공동체의 수용태도도 초등학교 일반교사가 중․고등학교의 일반교사 보다긍정적이었으며, 이는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 경력은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 았으나, 학교공동체의 수용태도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통합교육 연수는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연수를 경험한 교사와 통합교육 만족도 간에서 유의미한 총합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 대한 학교공동체의 수용 태도 와 통합교육 연수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통합교육 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협력교수 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school type, teacher exper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co-teaching,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445 general education teachers’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by K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e fi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nto the data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general education teacher was more likely satisfied with inclusion.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as also more positive than middle and high school gener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Although co-teaching experi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had no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eachers’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clusion had the total effect o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rol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bout inclusion and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Developing effective co-teaching models is also in need to promote inclusion.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영(Park, So-Young),홍사훈(Hong, Saahoon),유장순(Yoo, Jang-Soon),류지훈(Ryoo, Ji Hoon). (2017).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에 관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추론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4), 337-356

MLA

박소영(Park, So-Young),홍사훈(Hong, Saahoon),유장순(Yoo, Jang-Soon),류지훈(Ryoo, Ji Hoon).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에 관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추론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4(2017): 337-3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