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최근 동향
이용수 113
- 영문명
- A Study on Recent Trend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방기혁(Bang, Gi-Hyeo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3호, 39~5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미국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최근 동향을 교육과정에 의한 교양농업교육과 교육과정 외 교양농업교육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우리나라 교양농업교육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교육부의 자료, 연구보고서 및 연구물, 농업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AITC(Agriculture in the Classroom) 프로그램 등을 국가, 주, 그리고 단위 학교 수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교육과정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을 위하여 미국의 주 중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플로리다와 매리랜드 주로 하였으며, 교육과정 외 교양농업교육을 위해서는 AITC가 적극적으로 운영되는 플로리다와 일리노이 주로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우리나라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양농업교육은 교육과정에 의한 교육과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의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하고, 프로그램 운영에 요구되는 교사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직무연수를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 교양농업교육은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과 유기적으로 연계하기 위하여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에 유연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정부 부처, 유관 기관 등은 교육과정에 의한 학교 교양농업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교사와 학생을 위한 풍부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
넷째, 농림축산식품부와 같은 정부부처는 교육과정에 의한 학교 교양농업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교양농업교육 관련 연구, 워크숍, 학술대회, 경진대회 등을 연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하부 조직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analyzing recent trend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U.S. elementary․secondary schools and deriving the implications for it in Korea through discussion. For this, it was carried out review of literature and content analysis us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research reports of the USDE(U.S. Department of Education) and AITC(Agriculture in the Classroom) program of USDA(U.S. Department of Agriculture). The objects of analysis were Florida, Maryland, and Illinois states which represent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AITC program.
The major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needs organic cross-linking between the curriculum and program outside the curriculum.
Second,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need to be given greater flexibility in curriculum planning for organic cross-linking with program outside the curriculum.
Third, schools, government depart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will develop and support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activat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by the curriculum.
Fourth, government departments such as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y have to manage the sub-organization that is able to promote research, workshop, conference, competition related to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activat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by the curriculum.
목차
I. 서론
II. 미국 교양농업교육의 최근 동향
III. 종합 및 시사점
IV. 결론
키워드
교양농업교육
초․
중등학교
AITC(Agriculture in the Classroom)
NAITC(National Agriculture in the Classroom)
USDA(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E(U.S. Department of Education)Elementary․
secondary schools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ITC(Agriculture in the Classroom)
NAITC(National Agriculture in the Classroom)
USDA(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E(U.S. Department of Educat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최근 동향
-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원격 발명교육 연수 참여 교사의 연수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수준 및 교육 요구도 분석
- 실과 가정생활 영역의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연구
- 초등 실과 교과서에 제시된 소비교육 내용 분석
-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탐색
- 2015 실과(기술ㆍ가정)에서 초등기술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교사들의 멸종위기종 보전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교과서 ‘로봇의 이해’ 단원 분석
-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사례 연구
- 실과실습실 교구·설비 실태 조사
- 예비초등교사들이 인식한 가정에서의 성역할에 대한 연구: 남녀 인식의 차이검증
- 스티브 잡스의 발명영재성 요인 분석 및 발현과정 탐색
- 프로젝트 기반 로봇활용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