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실과(기술ㆍ가정)에서 초등기술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소고
이용수 242
- 영문명
- Configuration Plan of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ontents at 2015 Practical Arts Education(TechnologyㆍHome Economic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용익(Kim, Yong-i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3호, 57~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실과(기술ㆍ가정)에서 초등기술교육 내용 구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관련자료 고찰 및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실과교과뿐만 아니라 여러 교과에 분산적 으로 반영되어 있는 초등기술교육은 그 성격상 설계(design), 문제해결, 손놀림 활동, 재료와 공구, 기술의 인식, 실생활 등의 용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제1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교육과 정에 이르기까지 그 주요 내용은 시대상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왔다. 현 초등기술교육 내용 구성의 문제점으로는 영역 구분의 모호함, 담아야 할 내용이 너무 많음, 실현 가능성이 낮은 소재, 기존 정보기술내용에 소프트웨어 내용을 포함시켜야 함, 교육내용의 매력성이 높지 않음 등을들 수 있다. 개선을 위해서는 초등실과 교육내용 영역의 재조정, 내용의 혁신적 변화, 실현가능성이 높은 내용으로 구성, 주제(문제) 중심의 단원 설정 고려,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 지침서, 설계 요소 반영, 핵심역량 요소 반영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영역별 내용 구성 전략으로 생활과 발명 에서는 발명의 이벤트성, 동기유발 용이 등의 장점을 십분 살려서 재구성할 것, 소프트웨어의 기초 에서는 아동들의 눈높이에 맞는 용어를 사용하여 가급적 쉽게 진술할 것, 삶을 편안하게 하는 로봇 에서는 로봇게임 활용을 부각시켜 홍보효과를 극대화 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동식물과 함께 하는 생활 및 생명기술의 활용과 미래 는 힐링원예, 그린케어, 스쿨팜, 그린 빌딩, 그린 인테리어와 녹색환경, 친환경 텃밭, 옥상텃밭 및 베란다 원예 등을 포함시켜 교육내용의 매력성이 증가되도록할 것, 일과 진로 에서는 자기 이해 부분을 강조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이런 제안이 수용되고 의도 했던 대로 교육과정이 완성된다면 초등기술교육 내용을 통한 핵심역량의 신장 효과를 기대해도 좋을 것이다. 특히 발명, 로봇 등을 통한 문제해결능력, 창의․융합 사고 능력 효과는 클 것이다. 내용의 타당성도 비교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organizing contents of Practical Arts(Technology course & Home economics) in 2015 based on related studies and specialist opinion.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which is dispersively reflected in various courses including Practical Arts involving designing, problem solving, hand-activity, materials & tools, technology recognition and practical life has constantly changed throughout each curriculum revisions of their respective phases of the times. The contents of current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has some area that needs to be improved such as ambiguous domains, excessive amount of contents, impractical materials, lack of software information and uninteresting educational contents.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as follows: 1) Re-organizing domains, 2) Innovating contents, 3) Offering higher-practicality, 4) Focusing on topic(problem solving) 5) Implementing flexible curriculum guidelines, 6) Adapting design-elements, 7) Reflecting core competency. Especially, re-organizing Life and Invention with fortuity and motivator, instructing Elementary Software at the children s level, and promoting Helpful Robots using robot games are suggested for contents/domain organization strategy. Additionally, various programs are suggested to be included in bio-technology an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such as healing & gardening, green care, school farm, green building, green interior and environment, environment-friendly kitchen garden, rooftop garden & veranda horticulture and self-understanding.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is expected to deliver increase in the educatee s core competency by adapting the suggestions in this research. Especially, the validity of contents in utilizing invention/robot has checked to be fairly high that positively affects problem solving and creative/fusion thinking ability.
목차
I. 서론
II. 초등기술교육의 성격 및 내용 변천
III. 초등기술교육 내용 구성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IV. 초등기술교육 내용구성 전략
V. 초등기술교육 내용영역별 핵심역량 신장 가능성 및 내용 타당성
VI.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최근 동향
-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원격 발명교육 연수 참여 교사의 연수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수준 및 교육 요구도 분석
- 실과 가정생활 영역의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연구
- 초등 실과 교과서에 제시된 소비교육 내용 분석
-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탐색
- 2015 실과(기술ㆍ가정)에서 초등기술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교사들의 멸종위기종 보전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교과서 ‘로봇의 이해’ 단원 분석
-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사례 연구
- 실과실습실 교구·설비 실태 조사
- 예비초등교사들이 인식한 가정에서의 성역할에 대한 연구: 남녀 인식의 차이검증
- 스티브 잡스의 발명영재성 요인 분석 및 발현과정 탐색
- 프로젝트 기반 로봇활용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