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원격 발명교육 연수 참여 교사의 연수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수준 및 교육 요구도 분석
이용수 97
- 영문명
- The Analysis on Teachers Significances, Performance Levels and Educational Requirements about Remote Invention Education Training Session Invention Stories in a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수진(Park, Su-ji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3호, 109~12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 주제인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연수’는 2015년부터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 원격교육연수원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 목적은 초기 도입단계인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연수 내용에 대해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 수행 수준, 출석 연수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방법은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연수에 참여한 교사 전체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76개(76%)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설문지는 리커트 5점 척도로 응답하고 이 연수와 관련하여 출석 연수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의견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설문 결과는 IPA Matrix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연수를 받은 교사들은 연수 내용에 대해 중요한 편이다(4.286)라고 여기며 수행 수준은 보통이다(3.634)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요도와 수행 수준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 (.000)를 보였다. 특히, 10차시 ‘전자파로부터 자유로운 삶’, 13차시 ‘인체공학적 디자인’ 의 경우 가장 시급하게 출석 연수를 통해 수행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출석 연수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 조사 결과 교사들은 최근 첨단 기술이나 첨단 미래 산업 등의 내용을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자신들이 직접 발명하고, 특허 출원하는 체험 연수, 연수 내용을 수업하는 방법에 관한 출석 연수가 개설되길 원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언하면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연수와 관련하여 출석 연수를 개설할 때에는 학교 현장에서 수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수 내용 사례 중심의 교육 방법으로 이루어지되 학교급별 연수를 편성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subject, Invention Stories in a Curriculum training session has been run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Distance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of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since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perceived significances, performance levels and educational requirements about the training contents of Invention Stories in a Curriculum in the introduction stage.
Research method was to distribute questionnaires to all teachers in training session of Invention Stories in a Curriculum and 76 questionnaires (76%) was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asked to answer in Likert 5-Point Scale and describe their own opinions of educational requirements about the attending training session. The questionnaire result was analyzed with IPA Matrix.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eachers who attended the training session think that training contents are significant (4.286) and their performance levels are normal (3.63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000) between significance and performance level. In particular, the 10th Electromagnetic Wave-Free Life and the 13th Ergonomic Design indicate that it is required to raise performance capabilities though the attending training session. Second, as a result of specified opinion research about the attending training session, teachers want training contents how to develop contents and obtain a patent contents to apply interested in high technology, future leading-edge industry and etc. to their classes.
This study proposes to open an attending training session mainly about case studies which are helpful to educational field for each school level.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최근 동향
-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원격 발명교육 연수 참여 교사의 연수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수준 및 교육 요구도 분석
- 실과 가정생활 영역의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연구
- 초등 실과 교과서에 제시된 소비교육 내용 분석
-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탐색
- 2015 실과(기술ㆍ가정)에서 초등기술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교사들의 멸종위기종 보전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교과서 ‘로봇의 이해’ 단원 분석
-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사례 연구
- 실과실습실 교구·설비 실태 조사
- 예비초등교사들이 인식한 가정에서의 성역할에 대한 연구: 남녀 인식의 차이검증
- 스티브 잡스의 발명영재성 요인 분석 및 발현과정 탐색
- 프로젝트 기반 로봇활용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