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실과 교과서에 제시된 소비교육 내용 분석

이용수 84

영문명
An Analysis of Consumption Education Contents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수정(Lee, Soo-Jeong)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3호, 205~21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7년 교육과정의 실과 교육과정과 학교 수업에서 활용되는 실과 5, 6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소비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비교육의 변천내용을 살펴보고, 실과 5, 6학년 7종의 교과서의 소비내용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소비자원(2005)의 ‘초등학교 소비 교육과정’의 4가지 대영역(Ⅰ.시장경제의 이해, Ⅱ.합 리적 구매와 사용, Ⅲ.소비자 문제해결과 예방, Ⅳ.신소비문화 창조) 8개 중영역, 30개 학습요소 분석 준거로 활용하였다. 먼저 실과 5, 6학년 교과서 단원별로 제시된 소비교육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년별로 중점적으로 다루는 단원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과서에 따라서는 새로운 관점으로 소비교육을 접목하는 사례도 있어 전반적으로 실과 교과서의 단원별로 소비교육 내용이 고르게 제시되어 있었다. 그리고 교과서별로 4개 대영역, 8개 중영역, 30개 학습요소를 교과서별로 제시한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로 다루는 분량이나 비중, 중점적으로 다루는 영역 및 요소 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대영역의 경우는 합리적 구매와 사용, 신소비문화 창조, 중영역의 경우는 돈과 신용, 광고와 소비자 정보, 구매와 사용법, 친환경 소비문화 등의 관련 내용을 교과서별로 공통적으로 고르게 다루고 있어 실과교과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접목 가능한 소비교육 영역과 내용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초등학교 학생들의 소비자 역량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므로 향후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는 실과 교과에서 접목 가능한 소비교육 내용을 발굴을 위해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sumption educational contents shown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5th, 6th grade textbooks along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it was examined reflect situation of consumption education due to the transition of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And they were compared and analyzed consumption educational contents in 5th and 6th grade seven kinds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 ‘Elementary Consumption Curriculum’ published by Korea Consumer Institute(2005), as a result, we grasped the reality of consumption educational contents shown in Practical Arts textbooks. They were analyzed consumption educational contents in 5th and 6th Practical Arts textbook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ased on four large areas(Ⅰ.understanding of the market economy, Ⅱ. reasonable purchase and use, Ⅲ.resolution and prevention of consumer issues, Ⅳ. creation of a new consumer culture) and eight middle areas. Textbook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common points partly for consumption educational contents dealt with by seven textbooks mainly, but there was a difference for the amount of them. In particular, there was a intense devi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educational contents by textbook, and was no balance between them. Accordingly, when configuring a curriculum and textbooks of Practical Arts, we came to know that there is a need to approach capable of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consumption educational content areas. These are becaus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consumer competence of learners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economic chang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loring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 of Practical Arts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he members of education are to expect to have an interest in consumption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탐색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정(Lee, Soo-Jeong). (2015).초등 실과 교과서에 제시된 소비교육 내용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 (3), 205-219

MLA

이수정(Lee, Soo-Jeong). "초등 실과 교과서에 제시된 소비교육 내용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3(2015): 205-2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