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만인보』가 호명한 승려의 문학적 의미

이용수 20

영문명
Literary meaning of Buddhist monks called by Maninbo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박종덕(Park Jong-deok)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8輯, 241~27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만인보]를관통하는사상적배경의 한축을 불교에서찾으려는노력의결과물이다. 본고가 [만인보]의 사상적 배경을 불교와 관련하여 찾으려는 것은 승려의 삶을 살았던 것이 고은의 가치관 혹은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호명된 승려에 대한 분석의 과정을 통해 [만인보]를 관통하는 주제의식의 한 축을 발견할수 있을 것이다. [만인보] 전권에서 승려, 불교와 관련된 작품의 수는 318편이며, 수록권수는 모두 28권이다. 고은이 호명하는 승려는 속(俗)과 성(聖)의 경계에 있다. 권력의 언저리를 배회하다가 권력을 쥔 대가로 민중을 잃은 자장이나 원광을 호명하는 것은 불교가 나아가야 하는 방향이 무엇인가를 말하려는 의도이다. 반란을 꿈꾼 승려들이 호명되는 것은 실천적이고 참여적이며 저항적이라 할 수 있겠으나 이들의 목표가 권력에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이다. 일제의 권력에 빌붙었던 친일승에 대한 호명이나 물질적 욕망과 정욕에서 자유롭지 못한 승려들에 대한 호명을 통해 고은이 인식하는 불교 정신이 무엇인지를 발견하게 된다. 성의지향점에서있는승려들은민중을위한불법을주창한의상과같은이들이다. 이들은 가난한 민중들의 시선에서 불교를 전파하고 이해하고자 한 승려들이다. 조선시대 양대전란의소용돌이속에서승병을일으켜나라를구한승려들을적극적으로호명한것은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올바름을 지향하는 불교의 실천정신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기위한 의도이다. 정의를 지향하는 불교의 참여와 실천은 특히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가담했던 승려들을 적극적으로 호명하는 데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만인보]에 수록된 승려이야기를 소재의 차원에서 이해하면 안된다. 실천적 삶을 살았던 수많은 사람들의 이름이 만인보에 호명되는 근원에는 고은의 불교 사상이 전제되어있다. 민중의 삶과 일치하는불교를 지향했던 승려들을 호명하며, 그 대척점에 서 있는승려들을 비판하는 고은의 태도에서 [만인보]의 사상적 지향점의 한 축이 주체적이고 실천 적인 불교정신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a result of effort to find a base of ideological background piercing Maninbo from Buddhism. The reason why this thesis tries to fi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from Buddhism is because Ko Un’s experience as a monk may have had a great effect on his values. Through the analysis of monks whose name is called, we can find the part of base of subject piercing Maninbo. The literary works related to monks or Buddhism are 317 pieces and 28 books in total. the monk pronounced by Ko Un stands on a boundary line of secularity and sanctity. Through calling the names of the monk who lost the popularity while wandering around power, who plotted a revolt, who is pro-Japanese, and who are not free from secularity and sanctity, we can know the Ko Un’s thoughts about spirit of Buddhism. The names of monks who stood on the poor, who recruited monk soldiers and saved the country are frequently called. It is intended to emphasize spirit of practice of Buddhism which doesn’t disregard reality and aims for rightness. Participating and practicing of Buddhism which aims for justice can be found from actively calling names of monks who participated in independence movements o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We cannot understand story of monks’ based on the level of material. The fact that numerous names of people who lived practical life is based on Ko Un’s thoughts of Buddhism. From the Ko Un’s attitude that calls many names of monks’ who aimed Buddhism which matches with ordinary people’s life and criticize monks who stands on the antipode, we can know one of the bases of ideological aiming point of Maninbo is on the practical spirit of Buddhism.

목차

1. 서론
2. 출가와 정진; 고은에서 일초로
3. 속(俗); 반역(反逆)과 욕망(慾望)의 승려
4. 성(聖); 구제(救濟)와 구국(救國)의 승려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덕(Park Jong-deok). (2016).『만인보』가 호명한 승려의 문학적 의미. 어문연구, 88 (88), 241-275

MLA

박종덕(Park Jong-deok). "『만인보』가 호명한 승려의 문학적 의미." 어문연구, 88.88(2016): 241-2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