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j/계 이중모음의 음향학적 연구

이용수 1050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ent’s Utterance of Korean Diphthong - With Focus on j-type Diphthong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윤희(Kim Yoon-hee)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8輯, 333~35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이중모음 산출 특성이 한국인과 다를 것이라는 가설 하에 한국인과 중국인의 한국어 이중모음의 발화 양상을 음성 분석하여 비교 하였다. 두 집단의 이중모음 산출 시 나타나는 음향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지 살펴보았으며 또한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가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한국인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이중모음의 발화 길이와 활음 구간의 길이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음 구간을 시작지점과 종결지점으로 2등분으로 나누어 포르만트(Formant)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은 이중모음 /ㅛ/, /ㅠ/는 활음 구간의 종결 부분에 나타나는 혀의 높낮이에 차이를 보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ㅛ/ 발음의 경우, 활음 종결지점의 혀의 전후 위치가 한국인과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ㅠ/ 발음의 경우에도 두 집단의 활음 구간의 시작지점과 종결지점의 혀의 전후 위치가 모두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총 500시간이상의 한국어 수업을 들은 한국어 학습자임에도 불구하고 이중모음 /ㅛ/와 /ㅠ/의 정확한 발화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음가에 대한 교육은 한국어 교육의 가장 기초 부분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급 과정 학습자의 경우에도 정확한 조음을 하지 못하고 있음은 이후 발화 명료도에 영향을 끼칠 것임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므로 이는 초급뿐만 아니라 중급, 고급 과정에서도 한국어 발음에 대한 교정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꾸준한 발음 교정의 기회를 마련하는 노력이 있어야 이후 학습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명료도 높은 한국어 발화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thesis, on the hypothes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ent’s utterance of Korean diphthong are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ns, the utterance of Koreans and the Chinese student’s utterance of Korean diphtho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and Cambodian immigrant women’ utterance of the diphthong were compared, and the articulation patterns that showed what differences there were between them and how those differences were represented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ir length of diphthong utterance and the length of the glide section were not different fromthose of Korean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ormant by dividing it into the glide starting point and the glide ending point showed that the diphthongs, /ㅛ/, and /ㅠ/ showed differences in the high and low position of the tongue that appears at the ending point of the glide section, and thos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 the case of the pronunciation of /ㅛ/,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tongue at the ending point of the glide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ns. In conclusion, despite the fact that learners lived in Korea for a minimum of 500 hours, they had difficulties uttering the diphthongs, /ㅛ / and /ㅠ/, and none of the learners had accurate articulation. It appears that the learners did not receive proper feedback for accurate articulation from the beginning of learning but did the articulation by hearing by themselves and have been fossilized as they were. Despite the fact that the learners, who wish to learn accurate pronunciation, have the goal of accurate pronunciation, the fossilization is highly likely to have negative influence on the learning afterwards. And the ways to make pronunciation correction continuously so that the learners can make clear utterance without the inaccurate pronunciation remaining fossilized need to be presented.

목차

1. 서론
2. 한국어의 이중모음
3. 실험
4. 분석 결과
4.1. 이중모음의 지속시간
4.2. 활음의 지속시간
4.3. 활음 구간 F1
4.4. 활음 구간 F2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희(Kim Yoon-hee). (2016).한국어 /j/계 이중모음의 음향학적 연구. 어문연구, 88 (88), 333-357

MLA

김윤희(Kim Yoon-hee). "한국어 /j/계 이중모음의 음향학적 연구." 어문연구, 88.88(2016): 333-3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