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허균의 중국 서적 입수와 역사적 의미
이용수 567
- 영문명
- The Collection of Chinese Books by Xuyun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곽미선(Guo Mei shan)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32권, 357~38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허균의 중국 서적을 입수한 배경과 경로에 대해 살펴본 후, 중국 서적 입수가 지니는 역사적 의미에 대해 고찰했다. 허균이 중국 서적을 입수할 수 있었던 배경적 요소로 조선 사대부들의 서적에 대한 끈질긴 애착과 당시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조공사행에 주목하였고, 허균의 중국 서적의 입수경로는 조선에 파견되어온 중국 사신과의 교유를 통한 입수ㆍ중국사행을 통한 입수ㆍ역관과 표류인을 통한 입수 등 세 가지 층위로 나누어 입수 사실을 확인하였다. 허균의 중국 서적 입수 행위가 지니는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허균이 입수한 중국의 서적이 허균의 사상과 당대 조선 문단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판단하고 구체적인 자료를 토대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허균의 중국 서적에 대한 탐독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결과 허균은 당대 유행했던 중국의 한 가지 문학유파에만 얽매이지 않고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허균이 전후칠자의 문학론과 양명좌파의 문학론에 골고루 관심을 보였던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허균은 중국 서적의 영향을 받아 시대의 요구에 부응해갔던 선각자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1606년 주지번과의 만남을 계기로 왕세정을 비롯한 전후칠자에 경도되어 있다가 1614년 천추사행을 계기로 이탁오를 비롯한 양명좌파에 경도되어 있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mphasizes the study on the background, the wa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collection of Chinese books by Xuyun. The background of the collection is Korean officials love of Chinese books and the active Korean tribute to China at that time. The ways of collection can be described as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 collection from the Chinese envoy; second, the collection during the visiting in China; third, the collection from the translators and exiled scholars. These book sinfluenced not only Xuyun s literary thoughts but also Korean literature at that time. During the reading, Xuyun not only focused on some certain literature school, but tried to purse the creative literary viewpoint.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books, Xuyun s works value the personalities; follow the demand of the development of era. He shows the characters of a prophet in Korean literature.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허균의 중국 서적 입수의 배경과 한중 지식인의 시각
3. 허균의 중국 서적 입수의 역사적 의미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최고운전> 탄생담 재검토
- 『서울의 기억』의 언어와 이미지 담화 구조 연구
- <경화연>의 번역서 <제일기언>을 통해 본 홍희복의 번역 인식
- <유화기연>을 통해 본 군자(君子)의 조건과 그 이면
- <명주기봉> 이본 연구
- <무인입춘축성가(戊寅立春祝聖歌)>에 나타난 유배체험 형상화의 이면과 그 의미
- 18세기 후반 전라도 장흥지역의 농업과 농민
- 최치원의 풍류 관념과 그 문화사적 맥락
- 고전의 소통과 교양의 형성
- 조선(朝鮮) 사론 산문(史論散文)의 한 단면
- 애도의 정치학
- 고전시가에 나타난 음식 이념의 양상과 그 의미
- 17세기 전반 시가사의 변화와 새로운 과제
- 알폰소 바뇨니(P. A Vagnoni)의 『동유교육(童幼敎育)』 연구
- 조선 후기 서사체에 나타나는 설득화법의 두 양상
- 허균의 중국 서적 입수와 역사적 의미
-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죽음의 현장감과 재생의 상실감
- 전쟁으로 인한 정신적 외상의 극복과 교양 의 의미
- 정도전의 『맹자』 해석에 대한 일고
- <봉교자술>의 경험 서사에 나타나는 천주교 인식
- 근대 척독집을 통해 본 한문 교양 의 대중화와 그 의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