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인입춘축성가(戊寅立春祝聖歌)>에 나타난 유배체험 형상화의 이면과 그 의미
이용수 217
- 영문명
- The Background and Meanings of the Configuration of Exile Experiences Observed in Muinipchunchukseongga(戊寅立春祝聖歌)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남정희(Nam Jeong h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32권, 185~21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이광사의 <무인입춘축성가>를 대상으로 창작의 시공간을 재구성하고 작품의 구조적인 논리와 의미지향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작자가 이 작품을 창작하게 된 외부적 동인은 1755년에 발생한 을해옥사였다. 을해옥사는 급진 소론계의 일부가 영조의 왕정에 도전했던 모의였는데, 그 주모자였던 윤지와의 관계 때문에 문제가 일어나면서 이광사가 연루되었다. 이 역옥의 여파로 함경도 부령으로 유배당했고, 불안정한 정국 속에서 유배의 시련을 겪으며 이 작품을 창작하였다. 작품 속에서 화자는 송축과 연군을 두 개의 중심축으로 삼아 태평성대의 공간과 그것을 만들어낸 님에 대한 연모의 정서를 서술하고 있다. 그런데 작자가 부르는 송축의 대상인 세상은 현존하는 태평성세가 아니라 당위적으로 소망하는 세계였다. 또한 왕을 연모하는 화자는 가시적인 연군관계를 맺지 않는 상태에서 사적인 관계가 아니라 사대부 집단의 보편 관념에 기대고 있었다. 결국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성대(聖代)에 대한 감격과 송영은 화자가 유배자의 신분으로 할 수 있는 대사회적인 발언이었다. 화자는 왕의 치세를 강조하고 스스로도 이 가치의 공동체 안에 있음을 반복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분명하게 제시하였다. 군신의 사이에는 마땅히 지켜야 하는 원칙이 있고, 드러내야 하는 세계가 있음을 강조하기 위해서 전면적인 송축의 태도를 취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의 이면에는 님 혹은 왕이 대변하는 체제와의 화해라는 논리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structure the time and space of creation for Lee Gwang-sa s Muinipchunchukseongga, and to explain the structural logic and meaning orientation of the work. An external drive that led the author to write this work was the treason case in 1755. In the case, some of the radical Soron sect conspired to revolt against King Yeongjo s rule, and Lee Gwang-sa was involved in the incident through his connection to Yoon Ji, the ringleader. Because of this happening, Lee was exiled to Buryeong, Hamgyeong-do, and he wrote this work there while experiencing the sufferings of exile in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In the work, the speaker described the space of peaceful reign and his yearning emotion toward the king who had created the space, centering on two central axes, namely, eulogy and yearning for the king. The world, which was the object of eulogy recited by the author, was not an existing peaceful world but a dreamed ideal world. What is more, the speaker who was yearning for the king, without making a visible sovereign-subject relationship, relied on the general ideology of the literati group rather than on personal relationships. The author s gratitude and praise for the peaceful reign was his utterance to the society as an exile. The speaker emphasized the king s reign and suggested repeatedly that he himself was in the community of this value, and by doing so, clarified his political position. In order to emphasize that there were principles to be observed between the ruler and the subjects and that there was a world to be exposed, the author assumed the attitude of whole-hearted eulogy. In addition, behind this attitude was the logic of reconciliation with the regime represented by the master or king.
목차
<국문초록>
1. 문제 제기
2. 창작의 배경:을해년에서 무인년의 사이
3. <무인입춘축성가>의 구조와 유배 체험의 형상화
4. 송축과 연군의 맥락과 그 의미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최고운전> 탄생담 재검토
- 『서울의 기억』의 언어와 이미지 담화 구조 연구
- <경화연>의 번역서 <제일기언>을 통해 본 홍희복의 번역 인식
- <유화기연>을 통해 본 군자(君子)의 조건과 그 이면
- <명주기봉> 이본 연구
- <무인입춘축성가(戊寅立春祝聖歌)>에 나타난 유배체험 형상화의 이면과 그 의미
- 18세기 후반 전라도 장흥지역의 농업과 농민
- 최치원의 풍류 관념과 그 문화사적 맥락
- 고전의 소통과 교양의 형성
- 조선(朝鮮) 사론 산문(史論散文)의 한 단면
- 애도의 정치학
- 고전시가에 나타난 음식 이념의 양상과 그 의미
- 17세기 전반 시가사의 변화와 새로운 과제
- 알폰소 바뇨니(P. A Vagnoni)의 『동유교육(童幼敎育)』 연구
- 조선 후기 서사체에 나타나는 설득화법의 두 양상
- 허균의 중국 서적 입수와 역사적 의미
-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죽음의 현장감과 재생의 상실감
- 전쟁으로 인한 정신적 외상의 극복과 교양 의 의미
- 정도전의 『맹자』 해석에 대한 일고
- <봉교자술>의 경험 서사에 나타나는 천주교 인식
- 근대 척독집을 통해 본 한문 교양 의 대중화와 그 의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