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도전의 『맹자』 해석에 대한 일고

이용수 469

영문명
An Aspect of the Mencius Interpretation by Jeong Do-jeon(鄭道傳)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함영대(Ham Young dae)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32권, 255~28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도전(1342~1398)의 맹자학에 대한 검토이다. 정도전은 조선 개국의 이론적 기초를 놓은 『경제문감』, 『경제문감별집』, 『조선경국전』 등을 저술했다. 「불씨잡변」, 「심기리편」 등의 글들도 문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들 가운데는 『맹자』를 전거로 활용하면서 경술로서의 경서해석의 관점을 적극 개진한 곳이 적지 않다. 그러한 자료들은 정도전이 『맹자』와 관련하여 어떠한 저작을 제출하지 않았음에도 그의 맹자학을 살펴 볼 수 있는 요긴한 편린을 제공해준다. 검토 결과 정도전의 맹자학은 강한 경세적 지향 속에서 벽이단론의 기초위에 마음에 대한 참신한 해석을 시도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 방향은 경전의 원의탐구보다는 경세적 활용에 집중하는 것이다.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는데 주춧돌을 놓고자 했던 정도전의 의식 속에 경전은 그 본의보다는 경세적 지향을 투영하는데 소용되었던 것이다. 군주의 역할에 대한 맹자의 발언을 원용하거나 관중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君民의 역할에 대해 성찰하며 경세의 도구로서 학술의 효용을 극대화하려 했다. 곧 경술적 의미에서의 수용이었다. 벽이단의 논리로 제시되었던 기일원론의 세계관과 마음에 대한 이해는 주자학적이라기보다는 북송대 학자들의 입장에 가까운 것으로 보이고, 마음에 대한 통찰은 洙泗學의 원류에 직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정도전의 『맹자』 해석에 대한 이해는 조선 건국 초기의 학술적 분위기, 구체적으로 경학의 구체적인 한 국면을 살피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s the study of Mencius by Jeong Do-jeon(鄭道傳, 1342~1398). Jeong Do-jeon authored 『Gyeongjemungam(經濟文鑑)』, 『Gyeongjemun- gambyeoljip(經濟文鑑別集)』, 『oseongyeonggukjeon(朝鮮經國典)』 and more. Articles such as 「Bulssijapbyeon(佛氏雜辨)」 and 「Simgiripyeon(心氣理篇)」 are also included in anthology. In many of which Jeong vigorously expressed his views, while utilizing 『Mencius』 as his theoretical base, of Confucian Studies in the interpretation of Confucian Classics. Such materials offer a useful glimpse into his study of Mencius while Jeong never submitted any writings related to 『Mencius』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Jeong s study of Mencius is understood that based on the foundation of anti-heresy theory, he had a strong intention of awakening people and made a novel attempts to interpret one s mind. The direction was less about studying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doctrine but more focusing on activities to inspire people. In Jeong s consciousness in which he meant to install a foundation stone in building a new nation, the doctrine was used as a way to instill inspiration than its original meaning. Regarding the role of a monarch, he would quote Mencius, actively evaluate spectators, or introspect the roles of a monarch and his subjects, while making a great effort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as a tool of inspiration. To interpret in terms of Confucius Studies, it was to embrace. The world view of Philosophy of Qi(氣一元論), suggested as a theory of anti-heresy, and the understanding of one s mind were considered as more the stance of Northern Song Dynasty scholars than that of the Doctrines of Master Zhuzi(朱子, 1130-1200); and insights regarding one s mind is understood as the very root of Susa Learning(洙泗學) combining teachings of Confucius and Mencius. The understanding of Jeong Do-jeon s interpretation of 『Mencius』 is to contribute to investigating the academic atmosphere at the early founding of Joseon Dynasty as well as a detailed aspect of Confucian Classics.

목차

<국문초록>
1. 정도전의 구학(求學)과 맹자학의 저변
2. 정도전 맹자학의 일 국면
3. 남는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영대(Ham Young dae). (2015).정도전의 『맹자』 해석에 대한 일고.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2 , 255-283

MLA

함영대(Ham Young dae). "정도전의 『맹자』 해석에 대한 일고."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2.(2015): 255-2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