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산권 보장과 헌법재판소의 역할

이용수 627

영문명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property right and the rol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발행기관
한국헌법학회
저자명
윤영미(Yun Yeong mi)
간행물 정보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21卷 第3號, 227~265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세기에 제정된 우리 헌법은 재산권이 보장된다고 규정하면서 그 사회적 기속성 또한 명시하고 있다. 우리 헌법재판소는 헌법 제23조 제1, 2항에 의해 재산권의 내용을 정하는 입법에 의한 제약과 제3항의 공용제약을 구분하는데, 입법자는 재산권의 내용을 형성하는 입법에 대해 많은 재량을 가지며 내용을 정하는 규정인지 공용제약에 관한 규정인지 여부는 원칙적으로 입법자의 의사에 따라 좌우되므로 헌법재판소의 역할은 제약의 정도를 심사하여 양자를 구별하였던 과거에 비하여 감소되었다. 우리 헌법의 재산권의 사회적 기속성과 경제조항, 그리고 이들 조항과 사회적 기본권으로 나타나는 사회국가원리는 입법자에게 넓은 재량을 부여하지만 헌법재판소에게는 퇴행적이거나 형평성이 현저하게 결여된 재분배, 미래세대에 가혹한 부담을 안겨주는 개발 등을 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실체적 근거를 제시해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체적 측면의 심사를 통한 견제는 자제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뚜렷한 한계가 있다. 이에 비해 법률유보원칙 내지 의회유보원칙, 포괄위임금지원칙 등의 절차적·형식적 틀에 의한 심사는 입법부의 재량 내지 민주주의원리와 큰 갈등을 일으키지 않는 가운데 사법부가 보다 적극적인 통제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헌법재판소로서는 헌법상 재산권 보장이 공허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제도적·절차적 측면의 심사를 더 발전시키는 방법을 계속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Constitution of Korea, enacted in the 20th century, stipulates the social accountability inherent in the property right with the guarantee of right to property. The current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CCK) classifies the restrictions of property right by legislation into two categories: Firstly, the limitation accompanied by the legislative forming of the content of the right to property under Article 23 (1), (2) of Korean Constitution(KC). Secondly, taking - expropriation, use or restriction - of private property from public necessity for which Article 23 (3) KC requires compensation. The legislature has wide discretion in forming the content of the right to property, and the above classification depends on the intent of the legislature as a general rule. Therefore, the role of CCK in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 has been reduced compared to the past when CCK classified the legislative restrictions of property right according to its degrees. Provisions of KC on social accountability of property right, economic order, or the principle of social state, contained in above provisions and social right provisions of KC, allow wide legislative discretion, but they also gives minimum substantive basis for constitutional review to stop patently unfair redistribution of wealth and resource, or bad development which inflicts a severe burden on future generations. However, the check of CCK through substantive approach should be performed with self-restraint. On the other hand, review with procedural or formal standards such as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principle of parliamentary reservation, rule against blanket delegation, etc. opens up the possibility of active judicial control because tests with procedural or formal measures enable constitutional review without serious conflict with the legislative discretion of parliament, or democracy. Continuous effort to devise more improved institutional or procedural test measures will be needed to prevent the disintegration of constitutional property law.

목차

국문초록
Ⅰ. 서언
Ⅱ. 재산권 보장의 의미와 관계되는 헌법원리
Ⅲ. 우리 헌법의 재산권 규정과 이에 대한 판례의 해석
Ⅳ. 위헌법률심사를 담당하는 헌법재판소의 역할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영미(Yun Yeong mi). (2015).재산권 보장과 헌법재판소의 역할. 헌법학연구, 21 (3), 227-265

MLA

윤영미(Yun Yeong mi). "재산권 보장과 헌법재판소의 역할." 헌법학연구, 21.3(2015): 227-2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