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거도 사람들의 민요공동체 산다이와 사랑 감성의 사회적 교차

이용수 75

영문명
Gageodo Residents' Folksong Community, Sandai, and Social Crossing-over of Love Emotion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홍순일(Hong Soon il)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5輯, 217~24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가거도 사람들의 민요공동체 산다이를, 구비문학의 상상력과 사회학의 문제해결력’이라는 문학사회학의 관점에서 기억·기록을 통해 사랑 감성을 살피되, 서남해 도서지역의 사회적 교차와 그 변화에 초점을 두는 동시에 현사회에서의 도서해양문화의 위상을 살핀 것이다. 첫 번째 논의한 것은 섬사람들의 구비문학과 섬의 사회학과의 만남(제2장)에 관한 것이다. 가거도 사람들은 기억·기록으로서 산다이문화행위를 하되, 산다이를 통해 웰빙(well-being), 힐링(Healing) 등 사회적 삶의 질 향상에 도전한다. 이 산다이문화는 역사적으로 지역문화가 특성화되고, 사회적으로 문화권역이 전개되는 것이므로, 이 산다이문화 속에 있는 ‘구술의 무한성과 인식의 유한성’, ‘의식의 개인성과 표현의 사회성’, 그리고 ‘체험의 반복이라는 수동성과 총동원된 인식이라는 능동성’ 등에서 한국적 개별성과 세계적 일반성을 주목하는 것이다. 두 번째 논의한 것은 가거도 사람들의 산다이문화를 통한 사회적 실천(제3장)에 관한 것이다. 가거도는 민요 공동체의 놀이문화와 민요의 곡명을 동시에 산다이라고 지칭되는 섬이다. 가거도 사람들은 남다른 산다이문화를 변화·발전시키는 과정에서 각 단계마다 문예원리를 적용한 결과, 산다이문화를 통한 사회적 실천을 한다. 자기 마음에서 우러나서 조곤조곤 내는 소리인 <산다이>는 삶의 전면에서 느낀 바를 절실히 노래한다. 특히 <산다이>는 남녀 사이에서 느끼는 사랑을 더 간절히 표현한다. 즉 달[月]을 통해 임의 부재 속에서 사랑을 염원하기도 하고, 새[鳥]를 통해 부부관계에서 대장부 남자가 여자 마음을 모른다고 단정하여 한풀이하기도 한다. 그 결과, 가거도 사람들은 가거도 사람들의 시간과 공간과 삶에 대한 생각들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산다이≫에서 부르는 노래를 통해 사랑 감성을 표현하고, 민요공동체를 구축하여 사회적 실천을 이루어내는 것이다. 세 번째 논의한 것은 가거도 사람들의 구비연행과 산다이문화의 또 다른 기능(제4장)에 관한 것이다. 가거도 사람들은 산다이문화의 또 다른 길을 모색하여 삶 속에서 웰빙(well-being), 힐링(Healing) 등의 방편(方便)으로써 산다이문화를 자리매김하고, 섬의 비전에 따라 자원화하는 길을 찾는다. 자연히 시간, 공간, 인간이 상호교섭된 가거도 소리에는 가거도를 무대로 삼아서 삶을 영위해 온 가거도 사람들의 생애사가 융합되어 있다. 즉 주로 ≪멸치잡이 노래≫를 하는 김창대 소리꾼처럼, 남성이 바다의 어로활동을 맡고, ≪산다이≫를 하는 김월자 소리꾼처럼 여성이 섬의 농경활동을 하지만, 남녀가 일생의례와 생산의례에 따라 어느 날, 신앙하는 바다의 물과 땅의 산에서 생산의 노동활동을 멈추고, 생산활동 등 생활의 풍요를 기대하며 ‘놀이를 지향하는 소리문화의 연행물’인 산다이를 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nquired into Sandai, a folksong community in Gageodo residents, with the theme of love emotion, through memory and documents from the viewpoint of sociology of literature which is the imagination of oral literature and solution of sociology; focused on the social crossing-over and change of South-western island areas; as well as social status of marine and island cultures in the current society. The first issue discussed was the encounter between the oral literature of island residents and the sociology of islands (Chapter 2). The people of Gageodo perform Sandai culture activities as their memory and documents through which they challenge the promotion of social quality of life, such as well-being, healing, etc. This Sandai culture is a process in which a local culture is characterized, and cultural zone is developed in a social point; therefore, Korean originality and global generality receive attraction in the sense of oral finitude and cognitive infinity, cognitive individuality and expressional sociality, and the passivity of repetition of experience and activity of mobilized cognition inside Sandai cultures. The second issue was considering social practices through the Sandai cultures by Gageodo residents (Chapter 3). Gageodo is an island which is named by entertainment culture as well as folksong titles. Gageodo residents perform social practices through Sandai cultures as a result of applying literature principles at each stage in the process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different Sandai cultures. , a quietly reciting sound, which is born in hearts, is sung keenly in the result of life experiences. However, expresses love between man and woman more desperately. In short, people wish love for lovers to the moon, and a woman vents her spite against a bird, saying that a man never knows a woman's mind. In the result, Gageodo people vocalize their love emotion, establish folksong communities and achieve their social practices through songs which are sung in which is pervaded in the resident's thought of time, space and life. The third issue focused on oral performance of Gageodo residents and another function of Sandai cultures (Chapter 4). Gageodo residents find another way of Sandai cultures; settle Sandai cultures as a method of well-being, healing, and so on, and seek for a way of recycling according to the island's vision. In the Gageodo sori, in which time, space and human are mutually interacted in a natural way, the whole life history of Gageodo people who have sustained lives on the Gageodo was converged. Namely, like Kim, Chang Dae, a folksong singer of anchovy fishing sori, a man takes charge of fishery; and like Kim, Wol Ja, a solksong singer of Sandai, a woman takes charge of farming life; but still they keep sticking to their ordinary life and production process; and someday, they perform Sandai, 'an oral heritage of sori cultures which moves towards play', expecting the abundance of life including production activity, by stopping labors on the water of the sea and on the mountain of the land which they have set their faith on.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섬사람들의 구비문학과 섬의 사회학과의 만남
3. 가거도 사람들의 산다이문화를 통한 사회적 실천
4. 가거도 사람들의 구비연행과 산다이문화의 또 다른 기능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순일(Hong Soon il). (2015).가거도 사람들의 민요공동체 산다이와 사랑 감성의 사회적 교차. 어문연구, 85 , 217-243

MLA

홍순일(Hong Soon il). "가거도 사람들의 민요공동체 산다이와 사랑 감성의 사회적 교차." 어문연구, 85.(2015): 217-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