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쁘다’ 유의어의 공기 관계 연구

이용수 1635

영문명
Analysis on Concurrent Relations of ‘gippeuda(기쁘다)’-synonyms for Korean Education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배윤정(Bae Yun jeo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5輯, 5~2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기쁘다’의 유의어를 분석함으로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의어 교육을 통한 어휘의 양적 확장과 질적 향상은 단순히 어휘 교육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이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와 같은 의사소통 능력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유의어 변별의 문제는 사전에 나와 있는 단어의 의미적 정보만으로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단어는 고립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단어들과 함께 일정한 문맥을 형성하며 그 의미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다양하고 풍부한 문맥 정보를 갖춘 ‘21세기 세종계획 말뭉치’를 바탕으로 ‘기쁘다’ 유의어와 명사의 공기 관계를 분석하였다. 공기 관계 척도인 t-점수를 계산한 뒤, 이를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 ‘기쁘다’ 유의어의 공기 관계 양상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기쁘다’의 유의어가 의미적으로 유사할 뿐 개별적인 속성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노래가 흥겹다’는 쓸 수 있지만 ‘노래가 기쁘다’는 쓸 수 없다. 또한 ‘즐거운 생활’은 자주 쓰지만 ‘반가운 생활’은 잘 쓰지 않는다. 이 같은 사용 양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의사소통 상황에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에서 유의어를 교수·학습할 때는 어휘의 의미 제시에만 그치지 말고 자주 쓰이는 전형적인 예를 충분히 제시해야 한다. 이때 공기 관계에 있는 어휘와 어휘 구문의 구조를 함께 제시하여 사용 양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잘못 쓰기 쉬운 표현에 대해 언급하여 의사소통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여야 한다. 그리고 사회·문화적 배경을 포함한 어휘가 있을 경우, 이에 대한 보충 설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반가운 까치’처럼 ‘반갑다’와 공기어를 형성하는 ‘까치’에 대해서는 문화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단순히 공기 관계를 형성하는 어휘들의 예문을 나열하는 것으로 만족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의어의 공기 관계 연구는 무엇보다 한국어에 대한 직관이 없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의사소통 상황에 맞는 어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어휘 자체로만 접근했을 때보다 더 정확한 의미 변별이 가능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course by analyzing synonyms of ‘gippeuda(기쁘다).’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vocabulary by learning synonyms do not simply ends at the vocabulary learning. They have to be dealt importantly also because they are the basis of ability to communicate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synonyms only with meanings of words from a dictionary. A word does not exist alone as isolated but expresses its meaning by forming specific context with neighboring words. Therefore, in this work the synonyms of ‘gippeuda(기쁘다)’ and relations with their concurrent nouns are analyzed using ‘21st century Sejong Plan Corpus,’ which has vast amount of context information. After calculating t-score, which is a measure of concurrent relations, a network is constructed for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 in concurrent relations among synonyms of ‘gippeuda(기쁘다).’ This difference means that the synonyms of ‘gippeuda(기쁘다)’ are similar only in their meaning, but different in the individual attribute. For example, it is natural to say ‘a song is heunggyeopda(흥겹다)’ but strange to say ‘a song is gippeuda(기쁘다).’ Furthermore, ‘jeulgeongun(즐거운) life’ is often used, but ‘bangangun(반가운) life’ is seldom used. If patterns of usage such as these are not fully understood, errors could occur in communication. Therefore, when teaching and learning synonyms in Korean education, typical examples of usage should be given enough in addition to the meaning of the word. Then words with concurrent relations and structure of phases that include the words should be introduced so that th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usage of the words. To suggest words of concurrent relations is also helpful in understanding their usage. Furthermore, to reduce errors in communication usages that are used frequently wrong need to be taught. And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s sometimes needed. A good example for this is ‘bangangun (반가운) kkachi(까치),’ where cultural approach is necessary to explain the concurrent relationship between ‘bangapda(반갑다)’ and ‘kkachi(까치).’ This means that it is not enough to simply list example sentences that include words of concurrent relations. The study on the concurrent relations of synonyms would help select and use correct words in communication for foreign students who lack intuition in Korean language. Furthermore, the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nables to differentiate the meaning of similar words more accurately compared to the approach merely from vocabulary.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기쁘다’ 유의어의 선정과 변별
3. ‘기쁘다’ 유의어의 공기 관계 분석
4. ‘기쁘다’ 유의어의 교육 방안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윤정(Bae Yun jeong). (2015).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쁘다’ 유의어의 공기 관계 연구. 어문연구, 85 , 5-23

MLA

배윤정(Bae Yun jeong).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쁘다’ 유의어의 공기 관계 연구." 어문연구, 85.(2015): 5-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