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Ⅱ』의 국어사 단원 분석 및 제언
이용수 195
- 영문명
- Analysis and Suggestions regarding Uni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2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양영희(Yang yoyng 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1輯, 389~41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suggest alternatives to minimize the problems of units in Korean Language History of Korean Language 2 text book which is applied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problems in the textbook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constitution of units is not fulfilling the objectives of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Secondly, the developing method which summarizes briefly Korean Language characteristics of the age is mentioned. Third, selection of irrelevant material with the text is regarded problematic.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the solution to minimize those problems. Firstly, the major unit of Korean Language History should be subdivided into two small units,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Changes"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This is because Korean Language History units has strong aspects of Korean Language knowledge, and therefore to achieve the objectives set in the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should be explained as easily and specifically as possible.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cademic world should be changed. The academic community has been searching activation plan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outside of the curriculum, not within the curriculum. This paper considers that attitude as problematic. That is, grammar education including Korean Language History suggests learners to innate grammatical system by him or herself. This is from the attitude that considers the grammar field as basic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ctivity field, and could be problematic because there are unsuitable aspects with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of grammar.
As Korean Language History has stronger aspect of knowledge aspects than any other fields, direct explanatory method could be effective. Current textbooks provide materials only or minimize the explanation because of the obligation that it should provide units with materials (texts) based on the perspectives stated above. This could impede achieving the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hange of perception, therefore, is needed, and this paper suggests explaining in detail rather than just providing materials based on the fact that the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ie not only in enhancing Korean Language activity capability but also in promoting organized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knowledge.
목차
1. 머리말
2. 『국어Ⅱ』의 국어사 단원 분석
3. 제언 및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자 접미사의 판별과 국어사전 기술
- 한ㆍ중 동반자 작가 논쟁에 관한 비교 연구
- 조선시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청자경어법의 특이례 고찰
- 高敬命 詩文에 나타난 節義와 忠義의 形象化
- 농인의 문해력 특성에 관한 연구
- 구전 이야기 자원의 문화콘텐츠화 방향과 전략
- 정양 시의 지역어 양상과 미학적 기능
- 1970년대 식모와 남성 작가의 소설
- 김영석 시의 형식과 기법
- 『국어Ⅱ』의 국어사 단원 분석 및 제언
- 문학 교과서의 영화 수용 양상 연구
- 한국 전후시의 가족서사와 가족로망스
- 박완서 소설의 치유 공간 연구
- 한국 무속의 생태 사상과 치유 기능
- 정보지식화사회와 인문공학(1)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기미통신사(1439)와 高得宗
- 「德谷師友淵源錄」에 나타난 회봉 문인의 현황과 분석
- 1980년대 무크문학과 무대 재현의 욕망 - 부산 무크지 『지평』과 『전망』에 수록된 희곡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