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학 교과서의 영화 수용 양상 연구
이용수 398
- 영문명
- A Study on the film education in the literature textbooks ―Focused on the 2012 Curricular High School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박기범(Park Ki Beo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1輯, 357~38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research the way new literature textbooks involve the film was investigated.
First, a viewpoint of the films recognized in the 2012 curricular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2012 curricular include more contents about films the past because of the recent academic tendency. and It deals films in a point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is clear.
Second, 11 types of literature textbooks in the 2012 curricular were analyzed, and as a result, some problems were pointed. Following alternatives were also proposed.
① Setting up Unit : Some problem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2012 curricular deals scenario and film in a drama part were pointed out. In a view that the film is included in narrative genre rather than in drama genre, the present classification of the film is not appropriate. a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knowledge, ability and attitude required to create and understand the film as a visual media.
② Learning items : Learning items mainly the comparison between the novels and film. The weight of film, and many textbooks lacked critical ideas about the reception and creation of films. The textbooks should be configured to enhance the ability to find symbols in films and recognize the meaning of them.
③ Works in a textbook : Artistic aspects, educational purpose, the accessibility, and students' academic stages of development and experiences should be considered.
④ Learning activity : The activities should be not too large and obscure, and made in a way stimulating the divergent thinking. and It is advisable to frame the film chapters of textbooks to have themes, level, and hierarchy so that the text body, 'supplementation' and 'extension' have connections. Also, liaison with discussion or production, or more knowledge about films are advisable.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fic creating activity for students to produce an actual film.
This research is the succession of the author's researches that presented about the need and plan to include the film in literature textbooks before the development of new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ar. I expect this research to present suggestions for the future literature textbooks, and aid the increase of literatur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2012 고시 국어과 교육과정과 영화
3. 문학 교과서의 영화 관련 내용 분석
4. 문학 교과서의 영화 수용의 바람직한 방향 탐색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자 접미사의 판별과 국어사전 기술
- 한ㆍ중 동반자 작가 논쟁에 관한 비교 연구
- 조선시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청자경어법의 특이례 고찰
- 高敬命 詩文에 나타난 節義와 忠義의 形象化
- 농인의 문해력 특성에 관한 연구
- 구전 이야기 자원의 문화콘텐츠화 방향과 전략
- 정양 시의 지역어 양상과 미학적 기능
- 1970년대 식모와 남성 작가의 소설
- 김영석 시의 형식과 기법
- 『국어Ⅱ』의 국어사 단원 분석 및 제언
- 문학 교과서의 영화 수용 양상 연구
- 한국 전후시의 가족서사와 가족로망스
- 박완서 소설의 치유 공간 연구
- 한국 무속의 생태 사상과 치유 기능
- 정보지식화사회와 인문공학(1)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기미통신사(1439)와 高得宗
- 「德谷師友淵源錄」에 나타난 회봉 문인의 현황과 분석
- 1980년대 무크문학과 무대 재현의 욕망 - 부산 무크지 『지평』과 『전망』에 수록된 희곡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