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영석 시의 형식과 기법
이용수 52
- 영문명
- Poetry's form and skill of Kim Youngseok ―the center of Saseolsi(사설시) and Kwansangsi(관상시)―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안현심(An Hyun s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1輯, 259~27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thesis studies the form of Kim Youngseok's Saselsi(사설시) and expressing way of Kwansangsi(관상시).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삼국유사) imposed verse styles of old Korean folk songs(향가) or Ge(게) and Sa(사), 'complimenting as this reason' or 'respecting words as this reason' after writing background folk tales and details of accidents.Kim Youngseok's Saseolsi(사설시) expressed like 'That's why I sang', 'To write here adjusted roughly', 'To murmur low as groaning', 'To recall faintly' when it turned prose into verse. Korean classical poetries such as 「Hwanjoga(황조가)」, 「Gongmudohaga(공무도하가)」, and 「Gujiga(구지가)」 don't exist the form of connecting pieces lik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but they have the same form as Saseolsi(사설시) in terms of appearing verse poetries after background folk tale.
Poetry 「Mesani(매사니) and Gesani(게사니)」 supported Kim Youngseok's Saseolsi(사설시) imposed the form of pansori(판소리). It's the part "one of the spell songs such as Dalani(다라니) spell started trend to flow out without source." The verse part which was presented next emphasized to be song certainly by songs, because it was expressed by 'it started tread to flow out without source' and 'Dalani(다라니) spell had musicality. The prose part of Saseolsi(사설시) falls under pansori(판소리) lines, 'aniri'(아니리).
Kwansangsi(관상시) 「Nachimpan(나침반)-Gisangdo(기상도) 22」 showed a breath of pictures. Readers notice clear meaning in margin having space, such as silk-tree branches hanging a fish backbone formed like a butterfly and the distance between of flying many flowers in far sky, even though the poetry instinctively expressed meaningless images flying silk-tree flowers by wind. It's Kwansangsi(관상시) to pursue this effectiveness.
What is Kim Youngseok's purpose designing Kwansangsi(관상시) after prose poetries. The answer can be found because he was a scholor who studied 'Do(도).' Saseolsi(사설시) and Kwansangsi(관상시) are the poetry form as the way to fulfill 'poetics of Do(도)' exactly. Kwansangsi(관상시) was considered as the part of expressive skills, but Saseolsi(사설시) as the part of formality. That'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목차
1. 서론
2. '사설시'의 구조와 형식
3. '관상시'의 표현 기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자 접미사의 판별과 국어사전 기술
- 한ㆍ중 동반자 작가 논쟁에 관한 비교 연구
- 조선시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청자경어법의 특이례 고찰
- 高敬命 詩文에 나타난 節義와 忠義의 形象化
- 농인의 문해력 특성에 관한 연구
- 구전 이야기 자원의 문화콘텐츠화 방향과 전략
- 정양 시의 지역어 양상과 미학적 기능
- 1970년대 식모와 남성 작가의 소설
- 김영석 시의 형식과 기법
- 『국어Ⅱ』의 국어사 단원 분석 및 제언
- 문학 교과서의 영화 수용 양상 연구
- 한국 전후시의 가족서사와 가족로망스
- 박완서 소설의 치유 공간 연구
- 한국 무속의 생태 사상과 치유 기능
- 정보지식화사회와 인문공학(1)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기미통신사(1439)와 高得宗
- 「德谷師友淵源錄」에 나타난 회봉 문인의 현황과 분석
- 1980년대 무크문학과 무대 재현의 욕망 - 부산 무크지 『지평』과 『전망』에 수록된 희곡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