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완서 소설의 치유 공간 연구
이용수 1056
- 영문명
- A Study on Healing Space in Park Wan-seo's Novel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미영(kim mi 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1輯, 175~20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박완서의 70-90년대에 창작된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공간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했다.
박완서의 공간에 대한 인식태도는 70-90년대를 지나오며 변화를 겪는다. 그 과정에서 공간은 폭력적 공간으로 인식되기도 하고, 치유 가능성을 내포한 재현공간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리고 후기 작품에서 공간은 치유력을 내포한 대안공간으로 묘사된다. 이런 변화를 르페브르의 공간 생산 이론인 '공간적 실천', '공간 재현', '재현 공간'의 개념을 적용하여 탐색했다.
박완서는 부조리한 세태를 날선 묘사로 비판하는 작품을 주로 썼다. 그러나 박완서가 최종적으로 추구했던 것은 바로 치유 공간 제시를 통한 개인의 치유라고 본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박완서가 제시하는 치유의 의미를 작품에 제시된 공간에서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issues of space in Park Wan-seo's short stories in the 1970s, 1980s, and 1990s.
Her attitude of perceiving space went through changes from the 1970s to the 1990s, in which process space would be considered as violence space or reproduction space with a healing possibility. In her works in the late period, space was depicted as alternative space containing healing power. Those changes were delved into by applying the concepts of "spacial practice," "representation of space" and "representational space" in the space production theory by Henri Lefebvre.
Park usually wrote works criticizing the irrational situations of society with sharp descriptions, but it seems that she ultimately sought after individual healing through the presentation of healing space. The present study thus examined the meanings of healing suggested by her with the spaces presented in her work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공간 재현에 억압당하는 주체
3. 공간 구축을 통한 주체 억압 극복
4. 재현 공간에서 획득한 치유 가능성
5. 맺는말
국문초록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자 접미사의 판별과 국어사전 기술
- 한ㆍ중 동반자 작가 논쟁에 관한 비교 연구
- 조선시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청자경어법의 특이례 고찰
- 高敬命 詩文에 나타난 節義와 忠義의 形象化
- 농인의 문해력 특성에 관한 연구
- 구전 이야기 자원의 문화콘텐츠화 방향과 전략
- 정양 시의 지역어 양상과 미학적 기능
- 1970년대 식모와 남성 작가의 소설
- 김영석 시의 형식과 기법
- 『국어Ⅱ』의 국어사 단원 분석 및 제언
- 문학 교과서의 영화 수용 양상 연구
- 한국 전후시의 가족서사와 가족로망스
- 박완서 소설의 치유 공간 연구
- 한국 무속의 생태 사상과 치유 기능
- 정보지식화사회와 인문공학(1)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기미통신사(1439)와 高得宗
- 「德谷師友淵源錄」에 나타난 회봉 문인의 현황과 분석
- 1980년대 무크문학과 무대 재현의 욕망 - 부산 무크지 『지평』과 『전망』에 수록된 희곡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