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청자경어법의 특이례 고찰
이용수 292
- 영문명
- Study of Exceptional Cases of Addressee-Honorifics in Hangeul Letters of Joseon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이래호(Lee Rae ho)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1輯, 59~8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appearance of 'ᄒᆞᄂᆞ이다(hʌnʌida) style' of ' (hʌnʌy) style' that the person of upper rank used to the person of lower rank and the condition and cause for the appearance of such styles using 1,496 hangeul letter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examples of 'ᄒᆞᄂᆞ이다(hʌnaida) style' or '(hʌnʌy) style' used by the person of upper rank to the person of lower rank appear in the letters from parents to children, parents-in-law to daughter-in-law, grandparents (-in-law) to granddaughter or grandson's wife, uncle or aunt to nephew couple, nephew, nephew's wife, elder sister or elder brother (elder cousin) to younger brother or younger sister (younger cousin), mother-in-law to son-in-law, student's teacher to student's wife. While the letter from student's teacher to student's wife is a social relationship, the rest is kinship.
The addresser's intention to treat the person of lower rank with respect has an important impact on the addressee-honorifics which contravenes the superior-subordinate relationship. After the kinship between addresser and addressee is confirmed, the intention to respect is determined by the specific situation between the addresser and the addressee. The example of the specific situation is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 of upper rank and the person of lower rank, the family background, public post, and age of the person of lower rank, and social custom. Such factors can act complexly.
When the person of upper rank treat the person of lower rank with respect, the level of respect toward the person of lower rank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sideration for the person while keeping the dignity as the person of upper rank, and the most suitable level would be '(hʌnʌy) style.' '이다 (hʌnʌida) style' is used when more emphasis is given to the social relationship even when the addresser and the addressee are in kinship.
목차
1. 서론
2. 한글편지의 상대경어법 체계
3. 하위자 존대의 양상과 외적 상황
4. 하위자 존대의 요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자 접미사의 판별과 국어사전 기술
- 한ㆍ중 동반자 작가 논쟁에 관한 비교 연구
- 조선시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청자경어법의 특이례 고찰
- 高敬命 詩文에 나타난 節義와 忠義의 形象化
- 농인의 문해력 특성에 관한 연구
- 구전 이야기 자원의 문화콘텐츠화 방향과 전략
- 정양 시의 지역어 양상과 미학적 기능
- 1970년대 식모와 남성 작가의 소설
- 김영석 시의 형식과 기법
- 『국어Ⅱ』의 국어사 단원 분석 및 제언
- 문학 교과서의 영화 수용 양상 연구
- 한국 전후시의 가족서사와 가족로망스
- 박완서 소설의 치유 공간 연구
- 한국 무속의 생태 사상과 치유 기능
- 정보지식화사회와 인문공학(1)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기미통신사(1439)와 高得宗
- 「德谷師友淵源錄」에 나타난 회봉 문인의 현황과 분석
- 1980년대 무크문학과 무대 재현의 욕망 - 부산 무크지 『지평』과 『전망』에 수록된 희곡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