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ㆍ중 고전문학 속의 여성 이미지 비교

이용수 251

영문명
A comparison between images of women in traditional literature of Korea and China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남은경(Nam Eun ky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0권, 369~39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같은 유교권 국가였으면서도 상당히 다른 중국과 한국의 여성 인식을 고찰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이를 위해 『검협도전(劒俠圖傳)』의 여성협객을 중심으로 양국 고전문학 속의 여성을 비교해 살펴보았다. 비교 결과 중국 문학 속에서는 특히 유교적 규범을 초월한 여성 협객의 모습이 주목되었다. 이들 중국의 여성 협객은 뛰어난 육체적 능력과 솔직한 개인감정의 표현, 과감한 행동들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인격체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서 우리나라 문학 속의 여성 영웅은 한국적 특징을 가진다. 그녀들이 영웅적 행위를 통해 결국 얻어내는 것은 유교이데올로기 속에서의 충(忠)과 효(孝)의 확인이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남편이란 존재는 한국 여성영웅들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로 상정되어 있다. 또 한국의 여성영웅은 여성의 본래 모습 그대로 나오지 못하고 많은 경우 '여화위남(女化爲男)'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복수를 실천하는 여성의 경우 전생애를 걸기에 비장한 분위기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중국의 여성 협객들이 복수를 삶의 한 과정으로 여기고, 복수를 성취한 후에는 자유롭게 어디론가 떠나는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이러한 양국의 차이는 사상적 전통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중국에서는 유교와 더불어 도교, 불교가 함께 생활 속에서 숨쉬고 있었기에 여성의 다양한 모습이 꽃피울 수 있었다. 도교에서는 신체의 수련을 중요시하므로 무술과 관련이 깊고, 또 유교의 강고한 수직 질서만을 인정하지 않기에 중국의 여성은 보다 자유로울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오로지 유교의 영향 아래서 여성이 있었기에 남자의 옷을 입어야 밖에서 움직일 수 있고, 또 비극적 여성영웅이 되었다. 이러한 양국의 차이는 문학 뿐 아니라 후대 사회에서도 보인다. 중국 사회에서는 여성의 능력이 남성과 상당히 동등하게 인정되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 사회도 변하고 있고, 강인한 여성에 대한 찬미가 다양한 형태로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여성에 대한 사회 인식이 보다 더 긍정적으로 변화하리라 기대해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two different kinds of images of women in Korean and Chinese societies, both of which have been substantially changed with the lapse of time despite of their common Confucian traditions. The comparison was tried to be made by analyzing the images of women heros in literature of the two countries, with priority given to Jian Xia Tu Zhuan(劒俠圖傳, Illustrated Stories of Gallant Sword-women) of the Chinese side. It was found that many diverse characters of women have appeared in Chinese novels and that those of sword-women who transcended Confucian morality and standards were especially worthy of note: They showed an excessively cold-blooded side of personality but succeeded in demonstrating that woman was the same human being equal to man by proving their excellent physical capabilities and candid expression of their own feelings and their pattern of their determined action. In contrast, the images of women heros in Korean literatures have shown their peculiar characteristics: What they finally achieved by their heroic action was the affirmation of their loyalty and filial piety in the matrix of Confucian ideology. Above all, the existences of their husbands were supposed to be indispensable to Korean women heros. Korean women heros who lived under Confucian rule in the traditional society could hardly behave in natural way in their daily life and in most cases could not help showing up their devotion to their husbands. A woman taking revenge must stake risk of her all life and so the story always went in a tragic and solemn way. However, Chinese sword-women took revenge as a process of life and, after having taken revenge, would go away freely to remote places, a quite different way of life from those of their Korean counterpart. Suc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ame from those of their ideological and cultural tradition. In China Taosim and Buddhism, along with Confucianism, were rooted in the life of peoples, and diverse types of women could come into being. Taoism, which attaches a great importance to physical training, has had a close connection with Wushu, a Chinese traditional military arts. Defying Confucian vertical social order, Chinese women could be freer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 In Korea, women could only behave themselves in the solid frame of Confucian order, and so, only being dressed in man's attires they could undergo social activities. Naturally there could appear only tragic women heros in Korea. It is interesting that such differences existed not only in traditional literatures but also affect later in real life. While in China. the status of man and woman at home and in social life is equal, but in Korea the social recognition of woman is different with those of man. However, women in Korea are now changing, and admiration of tough women can be seen frequently in various forms. It is now greatly urged that with this as a momentum the social recognition of woman in Korea would rapidly change for more positive direction.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의 제기
2. 중국 고전문학 『검협도전(劍俠圖傳)』속의 여성 협객
3. 한국 고전문학 속의 여성 협객
4. 한ㆍ중 고전문학 속의 여성 이미지 비교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은경(Nam Eun kyung). (2005).한ㆍ중 고전문학 속의 여성 이미지 비교.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0 , 369-395

MLA

남은경(Nam Eun kyung). "한ㆍ중 고전문학 속의 여성 이미지 비교."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0.(2005): 369-3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