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전 서사문학에 나타난 가족과 여성의 존재양상

이용수 333

영문명
Patterns of Representation of Family and Women in the Classical Pre-modern Narrative Literature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강진옥(Kang, Jin ok)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0권, 5~49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족을 통해 고전문학 속의 여성을 이해하려는 시도는 여성의 존재양상을 삶의 맥락에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무속신화와 고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인물의 존재방식은 크게 집을 중심으로 하여 그 안과 밖으로 나눌 수 있다. '집 밖의 여성'형은 탐색담의 주인공들로서 사회적 금제에 도전하는 인물형이다. 무속신화의 경우, 1차가족으로부터 쫓겨난 여성인물은 외부공간에서 혼인을 통해 새로운 가정을 만들면서 주체적인 삶을 일군다. 쫓겨남은 존재전환을 예비하는 격리단계로서 잠재된 신성을 발현하는 계기로 작용하며, 이는 무속신화가 여성성이 근원적 생명력으로 숭앙되던 신화적 관념을 보존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여성영웅소설의 배경에는 여성에 관한 당대의 사회적ㆍ제도적 금제들이 존재한다. 남복을 입고 사회적 남성으로 살았던 여성영웅들은 금제에 도전한 존재들이지만, 그들의 행위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뒷받침된 효의 논리에 기반한 것이므로 용납될 수 있었다. 그같은 사실은 여성적 규범을 어기고 個我的 욕망을 추구하다 자기파멸의 길로 나아갔던 첩이나 계모들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된다. 여성영웅은 여성임이 밝혀진 후 '집 안의 존재'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적지않은 갈등을 겪으면서 여성의 자리가 집안임을 재확인하는 대신 사회적 역할에의 가능성과 여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조정하는 결과를 이끌어낸다. 반면, '집 안의 여성'형은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는 인물형이다. 가정신화에는 여성적 역할에 대한 규범적 지시가 언표되진 않지만 가정 및 가족 보존에서 여성인물의 역할은 절대적인 것으로 작용한다. 이는 모성이데올로기의 재생산 기제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처첩갈등소설에서 수난받는 정실들의 처지도 가부장제 가족구조의 문제에서 비롯되며, 이들의 견딤은 진실이 밝혀져 복권됨에 따라 가정내적 위상의 확립과 함께 해체된 가족질서 및 가문의 회복이란 보상으로 귀결된다. 계모가 악의 원흉으로 응징된 후에야 가족관계가 새롭게 펼쳐질 수 있다는 계모형소설의 구조도 모성 이데올로기와 무관하지 않다. 여성수난이 서사문학의 대표적인 주제로 일반화되어간 것은 신화적 여성상징이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와 만나면서 사회적 의미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여성의 신체적 특성이 열등한 사회적 위상과 결합되면서 더욱 일반화되어 갔을 것이다. 소설사가 전개되면서 처첩갈등을 통해 여성적 문제의식으로 가족제도의 모순을 자각하고 여성들 간의 유대감과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은 가족관계를 통해 여성적 존재방식을 확인하는 작업이 갖는 의의를 확인시켜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attempt to understand women represented in the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the mirror of family is to examine the ways of being of women in the context of concrete lives. The ways in which female characters exist in shamanistic myths and pre-modern novels may b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from the perspective of home(family), that is, inside and outside. Characters of 'woman-outside' type are the heroins of venture stories who make challenges to social taboos. In shamanistic myths, women ousted from their original families lead independent lives outside home by creating new families through marriages. Expulsion from the family symbolizes a moment of isolation that anticipates the transformation of being by triggering the manifestation of potential divinity. This shows that shamanistic myths well preserve the mythical concept of feminity as worshiped for its original life power. Under the novels of female hero are lying the institutional taboos against women in the society they live. Although the female heroes in men's clothes challenge those taboos, their actions were allowed in the society because of their attachment to filial piety(孝) upheld by the patriarchal ideology. They may be contrasted to concubines and stepmothers who independently pursue their own desires, but are to be destroyed as a consequence of their denial of female virtues. After a female hero is uncovered to be a woman, she goes through hardship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a 'woman-inside'. From this, we are reassured that the proper place for women is home(family). But a positive effect of this type of story is that it negotiates the established view on the role of woman and reveals her potential as a social being. In contrast, characters of 'woman-inside' type are those who abide by social norms. The norms for female roles are not ostensively manifested in family myths, but female characters function essentially in preserving the family. Their role may have contributed to reproducing a mother-ideology. Even the conflict between a legal wife and a concubine originates from the patriarchal family structure within which the perseverance of a legal wife is compensated by being reinstated to her legal position at home after the exposure of truth, and by the restoration of clan and family order. Stepmother-type novels are also related to a mother-ideology as they show that family relations are newly developed only after the retribution of stepmother as a ringleader of evil actions. It has become a general tendency for the premodern literature to take female sufferings as its main subject. It seems to be a natural consequence of the mythical female symbols being intertwined with a patriarchal ideology in the process of acquiring social meaning. The tendency was reinforced as the female body were exploited in accordance with her inferior social status. From the history of novel, we learn that women's consciousness has been raised through the conflict between a legal wife and concubines up to the level where they are keenly aware of the absurd aspects of patriarchal family as an institution and pursue solidarity among women. And this learning is the fruit of analyzing the ways of women's existence through the mirror of family relations.

목차

<국문초록>
1. 가족을 통해 문학과 여성을 보는 일
2. 신화적 서사에서의 여성과 기족
3. 고소설에서의 여성과 가족
4. 집 밖의 여성들 : 도전과 가능성을 꿈꾸는 존재
5. 여성의 존재방식 : 집의 안과 밖
6. 가족관계를 통해본 여성의 삶과 현실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진옥(Kang, Jin ok). (2005).고전 서사문학에 나타난 가족과 여성의 존재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0 , 5-49

MLA

강진옥(Kang, Jin ok). "고전 서사문학에 나타난 가족과 여성의 존재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0.(2005): 5-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