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극적 구전 서사의 연행에서 나타나는 비밀 폭로자로서의 여성 이미지 연구

이용수 139

영문명
The Study on Female Image as 'The Secret Divulger' in Performances of Tragic Oral-Narratives -Centering around 'Agichangsu(아기장수 : The heroic baby warrior with wings)' and 'Umulmyoungdang(우물명당 : The propitious site for a grave in well)'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김영희(Kim Young hee)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0권, 267~324쪽, 전체 5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9,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비극적 구전 서사인 <아기장수>와 <우물명당> 이야기는 신성(神聖)으로부터의 분리와 재생 실패라는 신화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는데, 분리와 실패로 귀결되는 비극적 과정의 핵심에 여성의 비밀 누설이라는 모티프가 자리잡고 있다. <아기장수> 이야기의 두 유형에서 어머니는 아들의 신성성(神聖性), 혹은 재생 가능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비밀 누설'로 인해 아들을 죽음, 혹은 재생 불가능의 상태로 몰아넣는다. <우물명당> 이야기의 풍수 아내 역시 비밀을 누설함으로써 명당에서의 재생을 통해 가문을 일으키려는 남편과 아들의 기도(企圖)를 실패로 만든다. 두 이야기에서 여성의 비밀 누설은, 서사 층위에서 비극적 인과율의 한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로 드러나지만 연행 층위에서는 비극적 결과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비밀 폭로'로 확대재생산된다. 남성 주체, 혹은 남성화된 주체가 주도하는, 남성 중심적이며 가부장적인 사회 현실에 기반한 연행을 거치면서 인간 실존의 문제를 다루는 비극적 서사가 남성 지배 이데올로기를 보편화, 정당화하는 성정치(性政治)의 담론으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기장수>와 <우물명당> 이야기의 연행에서 드러나는 상징적 지배의 담론 전략 가운데 하나는 서사 내 성ㆍ속의 구분과 갈등을 남성과 여성의 차별적 체계로 젠더화하는 것이다. 속(俗)의 영역에 속한 여성은 성(聖)의 영역에 속한 남성의 가치와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 채 인간적인 속성에서 비롯된 비극적 결함, 곧 치명적인 실수로 인해 금기를 위반함으로써 성(聖)으로부터의 분리와 재생 불가능한 죽음이라는 인간의 존재론적 한계를 정초하게 된다. 상징적 지배의 두 번째 담론 전략이 바로 여기서 나타나는데, 연행을 거치면서 여성은 금기 위반자를 넘어서 비극적 결과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져야 할 '죄인'으로 재인식되며, 이 과정을 통해 인간 실존을 대표하는 존재로서의 여성 이미지는 사라지고 '여성은 경솔하고 신뢰할 수 없는 존재'라는 의식만이 두드러지게 부각된다. 세 번째 담론 전략은, 남성 중심적 질서로 구성된 공동체에서 처음부터 소외되고 배제되었던 여성 주체에게 공동체를 위기에 빠뜨린 책임을 전가하고 이를 통해 애초의 소외와 배제가 정당하고 합리적인 것이었음을 설득하는 논리로 연행을 구성하는 것이다. 재생 실패의 원인이나 그 결과로 나타난 공동체의 위기는 여성 주체의 의도나 논리에 따른 것이 아니라 남성 중심적 권력 질서와 그것이 기반하고 있는 지배 이념 및 가치 관념에 따른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연행 과정에서는 아기장수의 어머니와 풍수의 아내가 이 모든 부정적 결과에 대한 책임을 떠안게 된다. 이때 연행 주체들은 서사 내적 논리를 벗어난 지점에서 여성 주체들을 비난하는데, 이와 같은 과도한 재단은 어머니로서 지켜야 할 덕목, 곧 '모성 신화'의 규범을 따르지 않은 데 대한 처벌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상징적 지배의 네 번째 담론 전략이다. 그러나 <아기장수>와 <우물명당> 이야기가 오로지 남성 지배를 정당화하는 권력 담론으로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두 이야기에 내재한 비극성은 서사 내적 논리를 통해 드러나는 현실 순응과 묵수의 태도를 회의하게 만들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연행 주체들의 생활 현실에서 일상화된 남성 중심적 가치와 질서를 반성하게 만든다. 또한 서사 층위와 연행 층위 사이의 엇갈린 지향과 상호 이질성이 남성 지배 담론의 견고한 대지에 균열을 만드는 저항의 단초를 보여주기도 한다.

영문 초록

The tragic oral-narratives, the story of 'Agichangsu(아기장수 : The Heroic Baby Warrior with wings)' and the story of 'Umulmyoungdang(우물명당 : The Propitious site for a Grave in Well)', present the mythologic themes of the separation from the sacred world and of the failure of revival. The tragic event that the female lays bare the secret of her son or her husband is one of the gradations of the law of causality of tragedy that lead to the results of the separation and the failure in the narratives. In two typical stories of 'Agichangsu' the mother commits the blunder disclosing the secret of Agichangsu's revival-he has wings under his axillae and can fly, or prepares to be born again as a strong and brave warrior riding on horse under ground- and her son dies or fails in rebirth because of her mistakes, for she cannot recognize his divine nature. The geomancer-the person has the art based on the geomantic system of topography used in choosing auspicious sites for graves and houses-'s wife also exposes the secret of her husband-the geomancer and his son are to put the geomancer's corpse into the public well in town-to her neighbors, so their project to intend to raise the honor of their family by the dead geomancer's coming to life again under ground ends in a failure in the story of 'Umulmyoungdang'. In these stories woman's divulging the secret acts as a part of the steps composed according to the tragic causality in the layer of narrative, but only the female image as the secret divulger to bring about tragic results immediately stands out in bold relief in the layer of performance. The tragic narratives raising the problem of human-existence become to function as the discourses of gender politics generalizing and justifying the ideology of 'the male domination', through the performing course led by the male or the subject of virilism and based on the androcentric social reality and the patriarchy. The first of the discourse strategies of symbolic domination is drawing a distinction between the sacred and the secular in the narratives according to genders of the male and the female. The female that belongs to the secular world is to give the to human ontological limits of the separation from the sacred world and the failure of revival by violating taboos, for she cannot understand meaning and value of the male being that belongs to the sacred world. This is involved in the second discourse strategy of symbolic domination. In the course of the performance, the female subject violating taboos is further recognized as the sinner to have to account for the tragic results totally and it is only said that the female is too incredible and careless to tell a secret to her, with her image as a figure representing human being passed over on purpose. The third discourse strategy of symbolic domination is to form the performance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female subject must be accused of causing the crisis of the community though she was already estranged and excluded from the community based on the androcentric system and the patriarchy at first, and to justify the alienation and the exclusion on the grounds of her mistake. Although the crisis of the community results from the androcentric system and ideology, not from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the female subject, the women are blamed for wrong effects in the layer of performance. The criticism against the women is beyond the logic of narratives themselves, and it is the punishment for nonobservance of rules that mythology of the motherhood insists all the women being someone's mother to observe. This is the fourth. But the performances of these narratives don't work only as the gender-political discourse to justify the male domination. The tragedy that exists in these stories makes the performancer to reflect and raise a doubt of the adaptation to the androcentric social reality. It is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 layer of narrative and the layer of perfor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 왜 여성인가?
2. 서사 층위에서 드러나는 비밀 누설자로서의 여성 이미지
3. 연행 층위에서 강화되는 비밀 폭로자로서의 여성 이미지
4. 서사와 연행에서 드러나는 상징적 지배의 담론 전략
5. 나오며 : 저항의 가능성은 없는가?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희(Kim Young hee). (2005).비극적 구전 서사의 연행에서 나타나는 비밀 폭로자로서의 여성 이미지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0 , 267-324

MLA

김영희(Kim Young hee). "비극적 구전 서사의 연행에서 나타나는 비밀 폭로자로서의 여성 이미지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0.(2005): 267-3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